검색 : [ keyword: secure coding guide ] (1)

C 시큐어 코딩 규칙 분류를 통한 실행 안전성을 보장하는 한글 언어 설계

김연어, 송지원, 우균

http://doi.org/

요즘에는 대부분 정보가 전산화되어 다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전산화된 정보의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코딩 실수로 발생하는 많은 메소드 오용 때문에 소프트웨어 자체가 취약해짐에 따라 정보의 안전성이 위협받을 수 있다. 해킹 공격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정보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시큐어 코딩 가이드가 제안된 바 있지만, C와 Java 프로그래머를 위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적용하기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시큐어 코딩 가이드의 규칙을 재분류한다. 구체적으로 행정자치부에서 발표한 C 시큐어 코딩 가이드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이 분류에 따라 구별된 규칙을 새로 제안한 한글 프로그래밍 언어인 새싹에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새싹에서는 C 언어 대비 점검해야 할 취약점 규칙의 수가 52%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Search




Journal of KIISE

  • ISSN : 2383-630X(Print)
  • ISSN : 2383-6296(Electronic)
  • KCI Accredited Journal

사무국

  • Tel. +82-2-588-9240
  • Fax. +82-2-521-1352
  • E-mail. chwoo@kiis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