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앱 카테고리 및 개발 도구에 따른 악성 앱 분포 


46권  2호, pp. 109-115, 2월  2019
10.5626/JOK.2019.46.2.109


PDF

  요약

최근 보안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다수의 악성 앱(malicious app)들이 온라인 마켓을 통해 유통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공식 마켓(구글 플레이)과 써드파티 마켓(아마존 앱스토어)에서 유통되는 앱들을 대상으로 마켓별, 주요 카테고리별, 교차플랫폼 개발 도구별로 악성 앱의 비율을 분석한다. 먼저 13개의 주요 카테고리의 선정 후, 카테고리별로 앱을 수집하고 VirusTotal의 업로드를 통해 악성 여부를 검사한다. 수집한 앱들을 카테고리 및 개발 도구별로 정상 앱, 멀웨어, PUA(Potentially Unwanted Application)로 구분하여 각각의 비율을 측정한다. 수집한 총 22,615개의 앱 중에서 4,741개가 악성 앱으로 판정되었으며, 구글 플레이의 악성 앱 비율은 14.39%, 아마존 앱스토어의 악성 앱 비율은 24.85%이다. 구글플레이의 경우 Utilities(19.8%)와 Weather(19.1%) 카테고리의 악성 앱 비율이 가장 높으며, 아마존 앱스토어의 경우 Social(40.2%)와 Travel&Local(36.3%), Weather(34.9%) 카테고리의 악성 앱 비율이 가장 높다. 이 카테고리의 앱을 설치하는 경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교차 플랫폼 개발 도구로 작성된 앱 중 악성 앱의 비율은 17.8%으로서 기존 통계에 비해 악성 앱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통계
2022년 11월부터 누적 집계
동일한 세션일 때 여러 번 접속해도 한 번만 카운트됩니다. 그래프 위에 마우스를 올리면 자세한 수치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참조

[IEEE Style]

J. Oh, M. Lee, S. Cho, S. Han, "Distribution of Malicious Apps Considering App Categories and Development Tools in Major Android Markets," Journal of KIISE, JOK, vol. 46, no. 2, pp. 109-115, 2019. DOI: 10.5626/JOK.2019.46.2.109.


[ACM Style]

Jihwan Oh, Myeonggeon Lee, SeongJe Cho, and Sangchul Han. 2019. Distribution of Malicious Apps Considering App Categories and Development Tools in Major Android Markets. Journal of KIISE, JOK, 46, 2, (2019), 109-115. DOI: 10.5626/JOK.2019.46.2.109.


[KCI Style]

오지환, 이명건, 조성제, 한상철, "주요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앱 카테고리 및 개발 도구에 따른 악성 앱 분포," 한국정보과학회 논문지, 제46권, 제2호, 109~115쪽, 2019. DOI: 10.5626/JOK.2019.46.2.109.


[Endnote/Zotero/Mendeley (RIS)]  Download


[BibTeX]  Download



Search




Journal of KIISE

  • ISSN : 2383-630X(Print)
  • ISSN : 2383-6296(Electronic)
  • KCI Accredited Journal

사무국

  • Tel. +82-2-588-9240
  • Fax. +82-2-521-1352
  • E-mail. chwoo@kiis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