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관련성 게이트를 활용한 FiD 시스템의 패시지 선별 및 답변 생성 성능 향상
최승호, 박시현, 김민상, 박찬솔, 왕준호, 김지윤, 김봉수
http://doi.org/10.5626/JOK.2025.52.5.385
본 논문에서는 오픈 도메인 질의응답 시스템에서 FiD(Fusion-in-Decoder)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안한다. FiD 모델은 여러 패시지를 독립적으로 인코딩한 후, 디코딩 단계에서 이를 결합하여 답변을 생성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불필요한 정보를 포함한 패시지를 필터링하지 못해 디코더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LSTM(Long Short-Term Memory)의 망각 게이트를 응용한 관련성 게이트(Relevance Gate)를 도입하였다. 이 게이트는 각 패시지의 관련성을 병렬적으로 평가하여 디코더에 전달되는 정보를 선별하며, 이를 통해 답변 생성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또한, 시그모이드 함수 대신 오픈 도메인 질의응답 시스템에 적합한 새로운 활성 함수를 적용하여 모델의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프롬프트 튜닝 기법을 적용한 한국어 속성기반 감정분석
김봉수, 최승호, 박시현, 왕준호, 김지윤, 전현규, 장정훈
http://doi.org/10.5626/JOK.2024.51.12.1043
속성기반 감정분석은 텍스트 내에서 감정과 해당 감정이 특정 속성, 예를 들어 제품의 특성이나 서비스의 특징에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분석하는 태스크이다. 본 논문에서는 속성기반 감정분석 데이터를 사용한 다중 작업-토큰 레이블링 문제에 프롬프트 튜닝 기법을 적용하기 위한 포괄적인 방법론을 소개한다. 이러한 방법론에는 토큰 레이블링 문제를 시퀀스 레이블링 문제로 일반화하기 위한 감정표현 영역 검출 파이프라인이 포함된다. 또한 분리된 시퀀스들을 속성과 감정에 대해 분류하기 위한 템플릿을 선정하고, 데이터셋 특성에 맞는 레이블 워드를 확장하는 방법을 제안함으써 모델의 성능을 최적화한다. 최종적으로, 퓨샷 세팅에서의 속성기반 감정분석 태스크에 대한 몇 가지 실험 결과와 분석을 제공한다. 구축된 데이터와 베이스라인 모델은 AIHUB(www.aihub.or.kr, 속성기반 감정분석 데이터)에 공개되어 있다.
대화 요약 생성을 위한 한국어 방송 대본 데이터셋의 구축 및 검증
김봉수, 김지윤, 최승호, 전현규, 전혜진, 정혜인, 장정훈
http://doi.org/10.5626/JOK.2024.51.4.311
대화 요약은 다중 발화자와 발화문으로 이루어진 멀티턴 형식의 문서에 대해 핵심 내용을 추출하거나 생성하는 태스크이다. 대화 요약 모델은 추천, 대화 시스템 등에 콘텐츠, 서비스 기록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는데 유용하다. 본 논문에서는 생성 기반 대화 요약을 위한 데이터셋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국내 방송사의 대용량 콘텐츠로부터 원천 데이터를 수집하고, 주석자가 수작업으로 주석 하였다. 구축된 데이터셋 규모는 6개 카테고리에 대해 약 100,000건이며, 요약문은 단문장, 세문장, 2할문장으로 구분되어 주석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의 특성을 내재화하고 통제할 수 있도록 대화 요약 주석 가이드를 제안한다. 또한 모델 적합성 검증에 사용될 모델 구조의 선정 방식을 제시함으로써, 데이터 특성을 고려한 모델 개선 방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실험을 통해 구축된 데이터의 여러 특성을 조명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기준 성능을 제시한다. 데이터와 베이스라인 모델은 aihub.or.kr에 배포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