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지능형 지속 위협을 막기 위한 사회공학 기반 보안요구사항 추천 프레임워크
http://doi.org/10.5626/JOK.2018.45.10.1015
지능형 지속 위협(Advanced Persistent Threat, APT)는 우리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사회 기술적 시스템(Socio-technical System, STS)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지능형 지속 위협은 기존의 전통적인 방식의 사이버 위협과는 다르게 하나의 해킹 기술이 아닌 공격 프로세스로서, 고도화된 다양한 익스플로잇을 이용하여 오랜 기간 동안 특정 대상을 노리기 때문에 탐지하거나 방어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기존의 지능형 지속 위협 대응책에는 방화벽, 로그검사, 패킷 분석과 같은 기술적인 방법들이 주를 이루는데, 지능형 지속 위협의 전체 프로세스 중 초기 단계에서 사람의 취약점을 노리는 사회 공학 기법이 이용되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적인 보안 체계는 손쉽게 무력화된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지속 위협을 막기 위한 첫걸음으로 3계층 접근법을 이용하여 취약한 사회 공학 기법을 다양한 인적 요소를 분석해 사전에 파악하고 이를 보완할 보안 요구사항을 온톨로지를 통해 추천해주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리눅스 기반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자 응답성 향상을 위한 프레임워크 지원 선별적 페이지 보호 기법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모바일 기기 응용들을 사용하면서 빠른 응답성을 제공받기를 바란다. 하지만 모바일 기기 응용들은 종종 사용자가 기대하는 수준의 응답성을 제공하지 못한다. 응답성을 저해하는 주 원인들 중 하나는 과도한 페이지 폴트 발생에 따른 대화형 태스크 수행의 지연이다. 이는 대화형 태스크의 상주 페이지(resident page)들이 비대화형 태스크와의 페이지 캐시 경쟁에 의해 더욱 빈번히 희생될 페이지(victim page)으로 선정되어 스토리지로 쫓겨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레임워크 지원 선별적 페이지 보호 기법을 제시한다. 제안한 기법은 프레임워크 레벨에서 대화형 태스크를 식별하고 이를 커널에 전달하여 페이지 replacement 시에 대화형 태스크의 페이지를 보호하고, 사용자 입력 처리 중에 발생하는 페이지 폴트를 줄인다. 실험 결과 제안된 기법은 기존 시스템에 비해 페이지 폴트 횟수를 37% 감소시켰고, 응답시간을 11% 단축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