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 author: 김시형 ] (2)

생성 기반 질의응답 채팅 시스템에서의 정답 반복 문제 해결

김시형, 김학수

http://doi.org/10.5626/JOK.2018.45.9.925

질의응답 채팅 시스템은 간단한 사실적 질문을 지식베이스 검색을 통하여 응답하는 채팅 시스템이다. 최근에 많은 sequence-to-sequence 채팅 시스템은 생성 모델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였다. 그러나 생성기반 채팅 시스템은 같은 단어를 반복해서 생성하는 단어 반복 문제가 존재한다. 질의응답 채팅 시스템에서는 같은 정답이 반복되어 생성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디코더에서 커버리지 방법과 ACA(Adaptive control of attention) 방법을 sequence-to-sequence 모델에 반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응답에서 중복되지 않은 단어의 개수를 반영하는 반복 손실 함수를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정밀도, BLEU, ROUGE-1, ROUGE-2, ROUGE-L, Distinct-1 모든 지표에서 높은 성능을 보일 뿐만 아니라, 다른 반복 출력 문제 해결을 위한 모델과의 결합에서도 좋은 성능을 보였다.

생성 기반 질의응답 채팅 시스템 구현을 위한 지식 임베딩 방법

김시형, 이현구, 김학수

http://doi.org/10.5626/JOK.2018.45.2.134

채팅 시스템은 사람의 말을 기계가 이해하고 적절한 응답을 하는 시스템이다. 채팅 시스템은 사용자의 간단한 정보 검색 질문에 대답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생성 채팅 시스템들은 질의응답에 필요한 정보인 지식 개체(트리플 형태 지식에서의 주어와 목적어)의 임베딩을 고려하지 않아 발화에 나타나는 지식 개체가 다르더라도 같은 형태의 답변이 생성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생성 기반 채팅시스템의 질의응답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지식 임베딩 방법을 제안한다. 개체와 유의어의 지식 임베딩을 위해 샴 순환 신경망을 사용하며 이를 이용해 주어와 술어를 인코딩 하고 목적어를 디코딩하는 sequence-to-sequence 모델의 성능을 향상 시켰다. 자체 구축한 채팅데이터를 통한 실험에서 제안된 임베딩 방법은 종래의 합성곱 신경망을 통한 임베딩 방법 보다 12.48%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Search




Journal of KIISE

  • ISSN : 2383-630X(Print)
  • ISSN : 2383-6296(Electronic)
  • KCI Accredited Journal

사무국

  • Tel. +82-2-588-9240
  • Fax. +82-2-521-1352
  • E-mail. chwoo@kiis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