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심층강화학습 기반 MCS 결정 알고리즘
http://doi.org/10.5626/JOK.2022.49.8.663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채널의 처리량, 주파수 효율 등을 높이기 위해 링크 적응 기법을 적용하여 채널 상태의 변화에 따라 전송 파라미터를 적응적으로 조절한다. 적응적 변조 및 코딩은 채널의 상태에 따라 미리 정의된 변조 및 코딩 방식을 결정하는 링크 적응 기법으로 단말이 보고한 CQI와 패킷 전송에 대한 HARQ 피드백을 기반으로 수행된다. 본 논문에서는 적응적 변조 및 코딩에 심층강화학습을 적용한 MCS 결정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동적으로 변화하는 네트워크 망에서 적응적으로 MCS 레벨을 결정하여 단말의 전송 효율을 높인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모델의 성능을 단말 로그 기반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안하는 모델이 기존의 외루프 전송률 제어 기법보다 높은 성능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정트리 기반의 기계학습을 이용한 동적 데이터에 대한 재익명화기법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등 새로운 기술의 도입으로 처리하는 데이터의 종류와 양이 증가하면서, 개인의 민감한 정보가 유출되는 것에 대한 보안이슈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민감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데이터에 포함된 개인정보를 공개 또는 배포하기 전에 일부를 삭제하거나 알아볼 수 없는 형태로 변환하는 익명화기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준식별자의 일반화 수준을 계층화하여 익명화를 수행하는 기존의 방법은 데이터 테이블의 레코드가 추가 또는 삭제되어 k-익명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더 높은 일반화 수준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인한 정보의 손실이 불가피하며 이는 데이터의 유용성을 저해하는 요소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결정트리 기반의 기계학습을 적용하여 기존의 익명화방법의 정보손실을 최소화하여 데이터의 유용성을 향상시키는 익명화기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