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 author: 김윤영 ] (2)

패칭을 이용한 GRU 기반의 시계열 예측 방법

김윤영, 정성원

http://doi.org/10.5626/JOK.2024.51.7.663

시계열 예측은 기업, 현장에서 의사결정의 보조자 역할로 활용되어 매우 중요하다. 최근 트랜 스포머 구조의 patch time series Transformer(PatchTST)와 MLP 구조의 Long-term time series forecasting Linear(LTSF-Linear)가 시계열 예측에서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PatchTST는 학습 및 추론시간이 오래 걸리고, LTSF-Linear는 구조의 단순함 때문에 훈련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제 한적으로 학습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패칭된 데이터에 Gated Recurrent Unit(GRU)를 사용하여 학습시간 감소와 시계열 데이터에서 학습할 수 있는 정보를 담아낼 수 있는 patch time series GRU(PatchTSG)를 제안한다. PatchTSG는 PatchTST 대비 학습시간을 최대 82%, 추론시간을 최대 46%까지 감소시킨다.

센서별 시간지연 교차 상관관계를 이용한 GCN 기반의 시계열 데이터 이상 탐지 방법

이강우, 김윤영, 정성원

http://doi.org/10.5626/JOK.2023.50.9.805

시계열 데이터를 통한 장비 이상 탐지는 더 큰 피해를 방지하고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와 관련하여 시계열 데이터 이상 탐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제약사항들이 있다. 첫째, 센서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허위 알람이 발생한다. 둘째, 센서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완전 그래프로 모델링하고 GAT(Graph Attention Networks)를 적용하였으나, 불필요한 연산의 증가로 많은 분석시간이 소요된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제약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SC-GCNAD(Sensor-specific Correlation GCN Anomaly Detection)를 제안한다. SC-GCNAD는 시계열 데이터의 특징을 반영한 TLCC(Time Lagged Cross Correlation)를 적용하여 정확한 센서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상관관계 표현력이 뛰어난 GCN(Graph Convolutional Networks)을 활용한다. 그 결과 기존 모델 대비 F1-Score는 최대 6.37% 향상하고, 분석시간은 최대 95.31% 단축한다.


Search




Journal of KIISE

  • ISSN : 2383-630X(Print)
  • ISSN : 2383-6296(Electronic)
  • KCI Accredited Journal

사무국

  • Tel. +82-2-588-9240
  • Fax. +82-2-521-1352
  • E-mail. chwoo@kiis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