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VANET에서 RSU에 의존적이지 않은 CRT-기반 그룹키를 이용한 메시지 인증 기법
http://doi.org/10.5626/JOK.2019.46.3.277
VANET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는 운전자의 안전과 직결될 수 있으므로 통신에 있어서 보안은 여전히 중요한 문제이다.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는 RSU를 신뢰 또는 준신뢰 장비로 인식하고 메시지 검증에 중요한 역할을 RSU가 담당하였다. 그러나 많은 수의 RSU를 준 신뢰 장비로 인식하기에는 RSU의 보안에 대한 안전성을 담보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SU에 의존적이지 않은 CRT(Chinese Remainder Theorem)-기반의 그룹키를 이용한 메시지 인증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CRT-기반 키서버가 각 차량에 개인키 및 그룹키 씨드를 계산하여 배포하면 각 차량은 그룹키 씨드 값에서 그룹키를 추출하여 메시지 인증에 사용한다. 제안기법은 메시지 검증에서의 RSU 의존도를 제거하였으며 문제 차량의 개별적 철회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공공 클라우드 환경에서 보안성 향상을 위한 전송계층 프로토콜 분석・평가
http://doi.org/10.5626/JOK.2018.45.1.76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는 업무 및 서비스 제공에 있어 공공망을 활용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촉진하고자 하나 공공망(인터넷)을 이용하는 구조로 인해 보안상의 취약점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공망을 사용하는 클라우드 네트워크의 일반적인 보안 취약점을 도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UDP와 TCP 계열 프로토콜(TCP, SCTP, MPTCP)의 보안 관련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 분석에는 신뢰성 및 보안성 요소를 사용하였으며, 보안 노출도를 평가하고 전송 프로토콜 중 보안성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프로토콜을 선정하였다.
노년층의 스마트 정보격차 요인 및 해소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 정보화 과정에 이어 2010년대 들어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스마트화가 급속히 전개되는 가운데 특히 2000년대 이후 신속히 진행 중인 고령화로 인하여 심각해지고 있는 만 65세 이상 노년층의 스마트 정보격차의 요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해소방안을 모색하고자 추진되었다. 기존 연구에서 노년층의 스마트폰에 대한 자기효능감, 교육, 접근성, 유희성, 비용 합리성, 정책적 지원 등 6개 요인을 도출하고 정보기술수용모델(TAM)을 토대로 연구모델을 정립한 후, 전국의 14개 노인종합복지관을 통하여 총 243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델(SEM) 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스마트폰에 대한 정책적 지원, 유희성, 자기효능감, 접근성, 비용 합리성, 그리고 교육 요인의 순서로 중요성이 우선시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에 노년층의 스마트 정보격차에 대한 다양한 해소방안 모색에 활용될 수 있다.
인지 컴퓨팅 융합 헬스케어 정보서비스 수용요인에 관한 연구
인구의 고령화와 과학기술의 발전은 헬스케어 산업을 질병 예방을 위한 건강관리에 중점을 두도록 변화시키고 있다. 국내에서는 유헬스와 원격의료 등의 서비스가 효과성 측면에서 사회적 동의를 얻지 못하고 있으나 해외에서는 이에 대한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인지 컴퓨팅으로 인한 사용자경험 혁신은 헬스케어 정보 서비스와 융합하여 일반인의 건강관리 효과를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인지컴퓨팅과 헬스케어 정보서비스를 융합한 인지컴퓨팅 융합 헬스케어 정보서비스의 개념과 모델을 확립하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본 융합서비스에 대한 수용요인을 연구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을 수행하였고,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가설 검증 및 성별에 따른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