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범죄 수사를 위한 상호작용이 가능한 다중 뷰 시각적 분석 시스템
정석원, 신동화, 복진욱, 박석현, 전현, 서진욱, 이인수, 박수영
http://doi.org/10.5626/JOK.2023.50.1.47
수사해야 하는 데이터는 날이 갈수록 많아지며 복잡해지고 있지만, 아직 수사 환경이나 방법은 그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사관들의 수사 환경과 수사를 위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에 대해 분석하고, 수사 과정에서의 센스메이킹 측면에 주목하여 기존의 센스메이킹을 위한 시각화 분석기법을 수사에 적용함으로써 수사를 효율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과업과 디자인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이를 만족시키는 수사를 위한 다중 뷰 시각적 분석 시스템을 디자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작한 프로토타입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시각화 시스템의 활용 방법을 모색하였다.
생성 기반 챗봇에서의 다양한 페르소나 반영 방법
http://doi.org/10.5626/JOK.2021.48.2.160
챗봇은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최근 생성 기반 챗봇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개인 특성에 따라 다양한 답변을 하는 챗봇 연구 또한 많아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챗봇에 개인 특성을 반영한 페르소나 챗봇이 있다. 페르소나 챗봇은 개인 특성을 의미하는 페르소나를 반영한 챗봇을 말하며 다양한 서비스에 브랜드 인격을 반영하려는 움직임과 맞물려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Dual WGAN 생성 기반 챗봇 모델에 페르소나를 세밀하게 반영하는 문장 페르소나 인코더와 테이블 페르소나 인코더를 이용하여 지정한 페르소나에 적합한 응답을 생성할 수 있는 챗봇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정량평가와 정성평가를 이용한 모듈별 비교실험과 실험 예제를 통해 제안 모델의 성능을 입증했다.
문장 임베딩 기반 텍스트랭크를 이용한 문서 요약
http://doi.org/10.5626/JOK.2019.46.3.285
문서 요약은 원본 문서가 가진 주요 내용을 유지하는 축약된 크기의 문서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추출 요약은 원문에서 많은 양의 텍스트를 복사하는 것으로 문법과 정확성의 기본 수준을 보장받을 수 있어 과거부터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 추출 요약에 사용되는 대표적 방법인 텍스트랭크는 단어의 빈도를 통해 그래프의 간선을 계산하므로 문장이 가진 의미적인 정도를 고려하기 어렵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문장 임베딩을 사용하는 새로운 텍스트랭크를 제안한다. 다양한 임베딩 평가를 통해 제안 방법이 일반적인 텍스트랭크 방법보다 문장의 의미를 잘 고려한 결과를 출력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키피디아 기반 개체명 사전 반자동 구축 방법
개체명은 다양한 자연어처리 연구 및 서비스에 중요한 정보로 이용된다. 개체명 인식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연구에서 개체명 사전을 이용한 자질이 개체명 인식 성능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개체명 사전을 구축하는 것은 매우 시간 소모적이고, 인력 소모적인 작업이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개체명 사전을 반자동으로 구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능동학습을 이용하여 위키피디아 분류정보로 구성된 가상 문서를 개체명 범주 당 하나씩 생성한다. 그리고 잘 알려진 정보검색 모델인 BM25를 이용하여 위키피디아 엔트리와 가상문서 사이의 유사도를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유사도를 바탕으로 각 위키피디아 엔트리를 개체명 범주로 분류한다. 서로 다른 3종류의 개체명 범주 집합에서 실험한 결과, 제안 시스템은 매크로 평균 F1-점수 0.9028, 마이크로 평균 F1-점수 0.9554이라는 높은 성능을 보였다.
위키백과로부터 기계학습 기반 한국어 지식베이스 구축
지식베이스는 자연어 처리 기반의 다양한 응용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영어권에서는 WordNet, YAGO, Cyc, BabelNet과 같은 지식베이스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키백과와 YAGO로부터 YAGO 형식의 한국어 지식베이스(이하 K-YAGO)를 자동 구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YAGO와 위키백과 인포박스간의 간단한 매칭을 통해 초기 K-YAGO를 구축한 뒤,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초기 K-YAGO를 확장한다. 실험 결과, 제안 시스템은 초기 K-YAGO 구축 실험에서 0.9642의 신뢰도를 보였고, K-YAGO 확장 실험에서 0.9468의 정확도와 0.7596의 매크로 F1 척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