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육군 정보체계 소프트웨어 개발 관리 프로세스 개선 사례
http://doi.org/10.5626/JOK.2020.47.10.911
육군 정보체계관리단은 고품질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소프트웨어 개발 관리 프로세스의 도입에 대한 관심이 높다. 그래서 상업용 소프트웨어 및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육군 정보체계 소프트웨어 개발 시스템을 제한적으로 구축하였다. 하지만 육군의 현안은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과 관리 시스템을 어떻게 완전하게 구축하느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육군 정보체계 소프트웨어의 품질 개선을 위한 개방형OS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 관리 프로세스로 기존의 육군 정보 시스템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CentOS 기반의 모든 공개 소프트웨어를 통해 독립적이고 확장에 유연한 소프트웨어 개발 관리 프로세스를 구축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공한다. 이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전체 개발 과정에 재정의된 품질 지표 적용, 개발 문서 자동 생성, 코드 복잡도 식별과 같은 메커니즘에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고품질 소프트웨어 개발을 용이하게 한다. 향후 수명주기 동안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교육, 설계, 개발, 유지보수, 구축과 같은 각 단계별 절차를 확대하고자 한다.
국내 중소규모기업의 테스트 조직을 위한 경량화된 테스트 성숙도 모델
http://doi.org/10.5626/JOK.2018.45.6.522
고품질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개발 및 관리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국내 기업에서는 TMMi와 같은 소프트웨어 인증을 통해 조직의 소프트웨어 품질을 개선하고자 한다. 그러나 기존의 소프트웨어 품질 모델은 규모가 있는 조직을 대상으로 수행해야 될 활동과 프로세스의 양이 많다. 또한 TMMi와 같은 테스트 인증을 준비하는 경우에도 많은 시간, 인력 및 비용이 소요된다. 이런 이유로 TTA는 우리 실정의 소프트웨어 산업 환경 및 테스트 조직의 현실을 반영한 인증 모델 개발 필요성이 생겼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중소 테스트 조직을 위한 테스트 성숙도 모델(Simplified Test Maturity Model: sTMM)의 경량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의 절차는 기존 테스트 성숙도 모델들을 비교·분석하고 핵심 요소 축소화를 통해 요소별 활동을 정의한다. 제안한 테스트 성숙도 모델은 국내 두 중소기업에 시범 적용하여 테스트 조직의 성숙도 평가 및 개선 가이드를 제공했다. 결국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 품질 개선 그리고 시간과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한다.
소프트웨어 가시화를 통한 품질 개선 사례 연구
오늘날 소프트웨어는 규모가 크고 시장 출하 기간의 단축 상황에서도 고품질 이슈가 중요하다. 그리고 산업 현장에서는 빠른 개발을 위해 아직도 코드 중심 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1) 개발자의 나쁜 코드 개발 습관의 개선 측면 그리고 2) 소프트웨어 비설계화, 비문서화 및 코드 내부 구조 비가시화의 유지보수 측면 등을 해결해야 한다. 이에 코드 가시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지향 코드의 내부 구조 시각화 방법을 위해 Tool-Chain을 이용한 내부 구조 가시화 방법과 품질 개선 절차를 제안한다. 사례로써 NIPA의 SW Visualization 기법을 실제 객체 코드에 적용한다. 먼저 객체지향 코드의 모듈 단위를 클래스로 정의하고, 코드의 정량적 분석 및 가시화를 통해 코드의 복잡도(Code Complexity)를 줄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