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주의집중력 향상 목적의 뇌전도 뉴로피드백 방법 조사
http://doi.org/10.5626/JOK.2021.48.10.1105
뉴로피드백은 뇌 상태의 피드백을 통해 사용자 스스로 뇌의 기능 및 상태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뇌 기능 조절 기술로 뇌 기능의 회복 및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의집중력 향상 목적의 뇌전도 뉴로피드백에 관한 연구 108건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환자 대상 연구가 건강인보다 약 3.5배 많았고, 유선 습식 뇌파 측정 장비를 활용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집중력 정량 지표로는 감각운동리듬과 세타파와 낮은 베타파의 비율이, 뇌 영역은 뇌 중앙부의 뇌파가 주로 활용되었으며, 피드백 방식은 시청각 자극이, 신경심리평가는 연속수행검사와 Go/NoGo 검사가 빈번하게 활용됨을 확인하였다. 향후 실용적인 뉴로피드백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비환자군 연구 확대, 편의성 및 몰입도 증대를 위한 무선 건식 뇌파 측정 장비 및 가상/증강현실 기술 활용 그리고 뉴로피드백 효과의 재현성 및 사용성 높은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기준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파킨슨병의 운동적 특징 및 공학적 정량화 방법에 대한 조사
http://doi.org/10.5626/JOK.2019.46.4.308
파킨슨병은 진전, 운동성, 강직 및 자세 불안정과 같은 이상운동증을 유발하는 신경 퇴행성 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병의 초기에 진단 및 치료를 통해 질병의 진행을 지연시키거나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파킨슨병으로 인한 이상운동증(떨림, 강직, 운동완서)과 이를 공학적으로 정량화한 방법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발표된 연구 논문의 국내 및 국외 조사를 통해 파킨슨병 운동 증상의 정량화 방법과 관련이 있는 67건의 논문(국내 24건, 해외 43건)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국내외 연구에서 가속도/각속도(46%) 및 근전도(22.7%)를 사용하여 각각의 운동 장애(진동, 경직, 운동완서)를 정량화 한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은 이러한 방법의 결과를 검증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78%, N=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