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추론 경로를 통한 거대언어모델 기반 제로샷 대화형 추천시스템 성능 개선
http://doi.org/10.5626/JOK.2025.52.7.617
대화형 추천시스템은 사용자와의 양방향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화된 항목 추천을 제공한다. 기존 대화형 추천시스템은 사용자의 선호를 효과적으로 포착하기 위해 지식 그래프와 같은 외부 지식에 의존해왔다. 최근 거대언어모델의 급속한 발전으로 제로샷 기반 추천이 가능해졌으나, 사용자의 암시적 선호도 파악과 최적의 추론 경로 설계라는 도전 과제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제로샷 기반 대화형 추천시스템에서 적합한 추론 경로 구성의 중요성을 검증하고, 이에 기반한 새로운 접근법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제안된 프레임워크는 (1) 대화 맥락에서 명시적 및 잠재적 선호도를 추출하고, (2) 이를 바탕으로 추론 트리를 구축하여 최적의 추론 경로를 선택하는 두 단계로 구성된다. 대표적인 벤치마크 데이터셋인 INSPIRED와 ReDial에서 제안 방법은 기존 제로샷 방법 대비 Recall@10에서 최대 11.77%의 성능 개선을 달성하였으며, 일부 학습 기반 모델의 성능을 상회한다.
계층적 표현 및 레이블 임베딩을 활용한 국내 논문 문장 의미 분류 모델
http://doi.org/10.5626/JOK.2024.51.1.41
논문 문장의 의미는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며, 하위 카테고리 간에 데이터 불균형이 존재한다. 또한, 논문 문장의 의미는 논문 내에서의 위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기존의 단일 수준 분류 방법은 주로 하위 카테고리만 고려하기 때문에 데이터 불균형으로 인한 분류 정확도 감소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응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장의 계층적 의미 분류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계층적 표현 및 레이블 임베딩 방법을 제안한다. 더불어, 논문의 섹션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논문 문장의 위치 정보를 표현한다. 실험을 통해 KISTI의 국내 논문 문장 의미 태깅 데이터셋에서 계층 정보와 위치 정보를 명시적으로 고려한 제안 방법이 F1 점수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했다.
효과적인 개인화 결합 방식 및 BERT를 활용한 리뷰 기반 개인화 추천시스템
http://doi.org/10.5626/JOK.2023.50.8.646
일반적으로 리뷰 텍스트에는 사용자의 주관적인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작성한 리뷰는 같은 표현이더라도 사용자별로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런 리뷰의 특징을 이용하여 데이터 희소에 취약한 협업 필터링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개인화 추천시스템을 위한 정보로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자연어처리 분야에서 사전 학습 언어 모델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BERT를 활용하여 리뷰를 통해 개별 사용자 특징을 풍부하게 표현하고자 하는 개인화 추천시스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ERT를 사용하여 리뷰로부터 사용자 및 상품별 특징을 깊이 학습하고, 이를 사용자 및 상품 ID와 긴밀하게 결합함으로써 개인화된 사용자 및 상품 표현을 나타내는 평점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아마존 벤치마크 데이터셋에 대해 제안하는 모델이 베이스라인보다 향상된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