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키 발급 서버를 이용한 암호데이터 중복제거 기술
데이터 중복제거 기술은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절약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평문데이터 중복제거 기술은 기본적으로 데이터의 기밀성을 유지하지 못하므로 암호데이터 중복제거 기술이 필요함은 당연하다. 본 논문은 키 발급 서버의 도움을 받는 암호데이터 중복제거 기술에 대해 연구하며 그 중 Bellare 등이 제안한 기법에 대한 분석 및 구현을 수행하였으며 키 발급 서버를 이용한 기술에 대한 효율성 측정을 위해 상용 클라우드 서비스 상에 Bellare 등이 제안한 기법과 평문 및 ConvergentEncryption에 대한 성능 측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상용 클라우드 서비스인 Dropbox 및 공개 클라우드 서비스 중 하나인 Openstack의 Swift상에 구현 및 효율성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키 발급 서버를 이용한 암호데이터 중복제거 기술에 대한 범용성을 검증하였다.
SHA-3 해시 함수 검정 프로그램과 16bit-UICC 용 SHA-3 구현
해시 함수는 암호 모듈, 암호 제품에서 무결성, 인증, 전자서명 등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암호 프리미티브이다. 본 논문에서는 암호 알고리즘이 제대로 구현되었는지 평가하는 암호 알고리즘 구현 적합성 검정 프로그램(CAVP)이라는 개념과 테스트 방법을 이용하여 SHA-3로 선정된 KECCAK 알고리즘의 구현 적합성 검정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SHA-3의 구조 분석을 통해 CAVP에 맞는 SHA-3 알고리즘을 16bit-UICC상에 구현하였으며 현재 표준 해시 함수인 SHA-2 알고리즘과의 효율성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