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Concolic 테스팅 도구 CROWN의 적용 가능성 및 사용성 개선 연구
http://doi.org/10.5626/JOK.2018.45.10.1071
본 연구에서는 Concolic 테스팅 기법의 적용 가능성 및 사용성을 개선하기 위한 CROWN(Concolic testing for Real-wOrld software aNalysis) 도구 확장에 대해 소개한다. 기존 CROWN 도구는 적용 대상 개발 환경이 Linux 환경으로 제한되어 있고 Concolic 테스팅 실행 결과를 쉽게 확인하기 어려워 사용자가 테스트 결과를 분석하기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Concolic 테스팅의 적용 플랫폼을 넓히기 위해 CROWN 도구를 Windows 개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게 확장하고 Concolic 테스팅 결과를 사용자가 쉽게 분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하였다.
효과적인 변이 분석을 위한 C 프로그램 변이 도구 비교
http://doi.org/10.5626/JOK.2018.45.4.342
변이 분석은 분석 대상 프로그램의 코드를 변형한 프로그램 변이를 실행해 프로그램 변형에 따른 실행 결과 변화를 분석하는 기법이다. 프로그램 변이 분석이 효과적이기 위해선 프로그램 변이 도구가 효과적인 프로그램 변이를 생성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생성된 프로그램 변이가 분석 대상 프로그램과 의미가 동일한 동등 변이거나 다른 변이와 의미가 동일한 중복 변이인 경우 변이 분석을 통한 다양한 실행결과 변화를 볼 수 없기 때문에 변이 분석에 효과적이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C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변이분석을 위해 변이 도구 Proteum과 Milu를 대상으로 얼마나 효과적인 프로그램 변이를 생성하는지 비교하였다. 효율적으로 효과적인 프로그램 변이를 생성하기 위해 변이된 표현식의 정규형을 계산하고 정규형이 같은 변이를 중복 변이로 제거하였다. SIR 벤치마크의 4개 Linux/Unix 유틸리티 프로그램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 Proteum과 Milu가 생성한 변이 중 각각 평균 48.7%, 46.4%가 유용한 변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