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메타버스 내 사용자 신원 증명을 위한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가상 아바타: 가상현실 내 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http://doi.org/10.5626/JOK.2022.49.11.1032
메타버스 내 익명성은 여러 제약으로부터 사용자를 자유롭게 하지만, 상호작용의 질을 저해하는 원인이기도 하다. 상기 문제점은 사용자 식별을 통해 보안할 수 있지만, 현재는 보안에 취약하며 위조 및 변도에 대응하기 어려운 개인 식별 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나 보안 패턴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개선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블록체인 기반의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과 사용자의 외모/개인정보가 결합된 신원 증명 수단 생성 방법론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실제 외모와 개인정보가 반영된 NFT 아바타(NFT-based avatar)를 생성하고, 31명을 대상으로 생성된 아바타에 대한 사용자 평가를 수행하였다. 사용자 평가 결과 NFT-based avatar와 사회적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경우 기존 아바타에 비해 더 높은 신뢰도, 공존감, 긍정적인 반응이 형성됨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NFT를 기반으로 하는 신원 증명된 아바타 제작 방법론을 제안했다는 점과 그 효용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스마트 기기 잠금을 위한 상황인지 위험도기반의 지속인증기법
스마트폰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가 타인에게 접근되는 것을 막기 위해 스마트폰 인증은 매 스마트폰 사용 시 마다 다양한 방법으로 스마트폰 소유자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러나 이러한 매 사용 마다의 인증은 사용자들의 불편함을 야기하며, 때로는 인증방법을 사용하지 않게 하는, 궁극적으로 스마트폰 보안의 치명적인 문제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인증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에서 스마트폰들은 사용자들의 과거 경험을 이용하여 그들의 위험을 인식하고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인증은 높은 위험이 있는 상황에서만 진행되기 때문에 제안 방법은 높은 위험도 상황일 경우에는 높은 안전성을, 그리고 낮은 위험도 상황에서는 사용자 편리성을 제공한다.
안드로이드 단말에서의 상황별 위험도 분석 및 상황별 위험도 기반 지속인증 기법
타인의 접근제어를 위해 사용하는 스마트폰 인증은 스마트폰 사용 시 마다 다양한 방법으로 스마트폰 소유자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러나 이러한 빈번한 인증은 사용자들의 불편함을 야기하며, 때로는 인증방법을 사용하지 않게 하는, 궁극적으로 스마트폰 보안의 치명적인 문제로 작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사용자들의 보안인증 사용을 촉진하여 보안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지속인증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스마트폰의 현 상황위험도를 측정, 그에 맞추어 적절한 인증 수단을 결정, 적용하며, 낮은 위험도 수준일 경우 인증을 수행하지 않아 사용자의 가용성을 높여준다. 상황위험도를 정의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이용하였으며, 설문결과를 연령, 위치, 장소, 행동 등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시연을 위해 정의된 상황위험도와 보안인증수단과의 관계를 시각화하여 보여줄 수 있도록 시연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