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프라이버시 보호 데이터 배포를 위한 모델 조사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들이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의 공유나 배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공유된 데이터에 개인과 관련된 민감한 정보가 있을 경우, 개인의 민감한 정보가 드러나는 프라이버시 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 개인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배포하기 위해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데이터를 최소한으로 변형하는 프라이버시 보호 데이터 배포(privacy-preserving data publishing, PPDP)가 연구되어 왔다. 프라이버시 보호 데이터 배포 연구는 다양한 공격자 모델을 가정하고 이러한 공격자의 프라이버시 유출 공격으로부터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한 원칙인 프라이버시 모델에 따라 발전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프라이버시 유출 공격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프라이버시 모델들을 프라이버시 유출 공격에 따라 분류하고 각 프라이버시 모델들 간의 차이점과 요구 조건에 대해 알아본다.
데이터베이스의 과학에 대한 고찰 및 연구 사례 분석
본 논문은 새로운 연구 분야인, 데이터베이스의 과학을 소개하고 그에 대한 연구 사례들을 분석한다.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과학은 다중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교차되어 관찰되는 흥미로운 현상을 더 잘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데이터베이스 연구 분야에서 수학적이고 공학적인 연구가 주류를 이루어 온데 반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잘 이해할 수 있는 과학적인 연구는 다소 덜 주목 받아 왔다. 사실 과학적인 연구는 질의 최적화 및 트랜잭션 처리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이끌어 내어 궁극적으로 기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하는데 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과학 분야는 현재까지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관찰된 다수의 현상 사례들을 연구하고 발견된 결과를 토대로 다수의 공학적 함의를 제공해 왔다. 본 논문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과학적, 실증적 연구 방법론을 살펴보고, 이를 지원하는 사이버 인프라를 소개한다. 이어서 지금까지 다뤄진 현상 연구 사례들을 복개하고 각 현상의 설명을 위해 제안된 실증적으로 검증된 구조 인과 모델을 논의한다. 끝으로, 연구 사례들을 종합적으로 분석 한 후, 관심 연구자들을 위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