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오디오 컨텍스트의 선호 경향 및 활동 패턴 분석 기법
http://doi.org/10.5626/JOK.2018.45.4.348
최근엔 SNS, UCC, 디지털 다이어리 등의 개인 컨텍스트가 많아지고 있으며, 그 종류도 다양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개인 컨텍스트를 통한 시맨틱 분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시맨틱 분석을 통해 개인 컨텍스트로부터 라이프 스타일, 삶의 질 등의 개인이 인지하지 못하는 다양한 측면을 추론해 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 컨텍스트 중 오디오 컨텍스트에 대한 시맨틱 분석의 방법론을 제안한다. 특히, 시맨틱 분석의 종류 중 하나인 개인 선호도와 행동 패턴 분석에 대하여 상세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된 기법을 평가하기 위하여, 스마트 다이어리 시스템 개발에 시맨틱 분석 프로세스를 적용하고, 실험한 평가 결과를 제시한다. 제안된 기법을 평가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통한 개인 컨텍스트의 분석 결과는 개인 비서 서비스, 추천 서비스, 광고 서비스 등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예측 기반 동적 컴포넌트 오프로딩 프레임워크
http://doi.org/10.5626/JOK.2018.45.2.141
모바일 디바이스의 보편적인 보급으로 인하여 모바일 컴퓨팅은 사용자들의 일상 생활에 편리를 가져다 주는 컴퓨팅 패러다임으로 되었다. 다양한 타입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출현으로 인하여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스케줄 관리 등 다양한 업무 수행이 가능해졌지만 모바일 디바이스의 리소스 제한적인 문제로 인하여 일정 수준의 컴퓨팅 작업만 수행 가능하고 비교적 큰 컴퓨팅 작업을 수행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존재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연구에서는 제한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자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능 컴포넌트를 다른 서버 노드로 오프로딩(Offloading) 시킴으로써, 모바일 노드의 자원 문제를 해결하는 솔루션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동적 오프로딩 기법에 관한 연구는 개념적인 수준의 기법만 제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노드의 성능을 보장하기 위한 예측 기반 동적 오프로딩기법 및 프레임워크 설계 모델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한 예측 기반 오프로딩 기법의 유효성 검증을 위한 실험 및 평가를 수행한다.
다양한 의료 분석 방식을 지원하는 효과적 추론 기법 설계 및 적용 지침
다양한 개인 의료 장비들이 등장함에 따라 개인 의료 컨텍스트가 풍부하게 수집되고 있다. 이렇게 수집된 의료 컨텍스트를 분석함으로써 소프트웨어적으로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의료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의료 분석 기법을 정형화하고, 각 의료 기법을 실현화하기 위한 추론 기법을 식별하며, 추론기법의 적용 지침을 제시한다. 또한, 의료 기법을 제공하는 추론 시스템을 PoC 수준에서 개발하고, 실제 의료 컨텍스트를 분석하여 질병 진단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제시하는 의료분석 기법 및 추론 기법 적용 지침의 실효성과 그 효과를 검증한다.
IoT 디바이스 기반 노화진단을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크
사물인터넷 컴퓨팅의 등장으로 다양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건강 컨텍스트의 수집과 수집된 건강 컨텍스트를 분석하여 노화진단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기존의 노화진단 기법들은 서로 다른 고정된 노화진단요소들을 사용하여 사용자에 따라 획득 가능한 건강 컨텍스트의 가변성을 고려하지 않아서 새로운 노화진단요소의 추가 및 삭제에 대해 동적 대응이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노화진단에 필요한 다양한 노화진단 요소를 수집하고, 사용자마다 가변적인 노화진단 요소의 구성에 따라 동적으로 적응 가능한 노화진단 프레임워크의 기법 및 설계를 제안한다. 제안된 노화진단 프레임워크를 이용하면 획득 가능한 건강 컨텍스트의 가변성과 관계없이 노화진단기법의 적용이 가능하며, 노화진단 요소의 동적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