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단일 분자화합물의 폐 발암성 예측을 위한 그래프 신경망 접근법
http://doi.org/10.5626/JOK.2025.52.6.482
암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수백만 명의 사망자를 초래하는 주요 질환 중 하나로, 특히 폐암은 2022년 한국에서 암 중 가장 높은 사망률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폐암을 유발하는 화합물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며, 본 연구는 기존 기계학습 및 딥러닝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그래프 신경망을 활용하여 폐암 유발 가능성을 예측하는 새로운 접근방식을 제안하고 평가했다. 화합물 발암성 데이터베이스인 CPDB, CCRIS, IRIS, T3DB의 SMILES(Simplified Molecular Input Line Entry System) 정보를 기반으로 분자의 구조와 화학적 성질을 그래프 데이터로 변환해 학습했으며, 제안된 모델은 다른 모델 대비 우수한 예측 성능을 보였다. 이는 폐암 예측에 효과적인 도구로서 그래프 신경망의 잠재력을 입증하며, 향후 암 연구와 치료 개발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약물 정보 문서 임베딩을 활용한 딥러닝 기반 약물 간 상호작용 예측 모델
http://doi.org/10.5626/JOK.2024.51.6.503
다약제는암,고혈압,천식 등 다양한 질병에 대하여 유망한 접근법이다.일반적으로 병원에 방문하는 환자는 2종 이상의 약물을 처방받는다. 그러나 다약제의 사용은 개별 약물이 목표하는 작용 외에 예상치 못한 상호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약물 간 상호작용을 사전에 예측하는 것은 안전한 약물 사용을 위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약제 사용 시 발생 가능한 약물 간 상호작용 예측을 위해 개별 약물 정보를 포함한 문서를 이용하여 약물을 표현하는 문서 임베딩 기반의 딥러닝 예측 모델을 제안 한다. 약물 정보 문서는 DrugBank 데이터를 이용해 약물의 설명, 적응증, 약력학 정보, 작용 기전, 독성 속성을 결합해 구축한다. 그 후 Doc2Vec, BioSentVec 언어 모델을 통해 약물 문서로부터 약물 표현 벡터 를 생성한다. 두 약물 표현 벡터는 한 쌍으로 묶여 딥러닝 기반 예측 모델에 입력되고, 해당 모델은 두 약물 간 상호작용을 예측한다. 본 논문에서는 언어 임베딩 모델의 성능 비교, 데이터의 불균형도 조절 등 다 양한 조건의 변화에 따른 실험 결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약물 간 상호작용 예측을 위한 최적의 모델을 구 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안된 모델은 약물 처방 과정, 신약 개발의 임상 과정 등에서 약물간 상호작용 사전 예측을 위하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계학습을 활용한 화합물의 약인성 간 손상 예측 방법 연구
http://doi.org/10.5626/JOK.2023.50.9.777
약인성 간 손상은 임상시험용 의약품이 시장에 유통되는 것을 막는 요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사전에 화합물의 약인성 간 손상 위험 평가가 필요하다.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생체 내 (in vivo) 및 시험관 내 시험 방법(in vitro)이 사용되지만 이들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문제를 극복하고자 random forest, light gradient boosting machine, logistic regression 모델을 제안한다. 모델은 입력으로 화합물의 분자 구조와 물리화학적 특징을 사용하고 출력으로 약인성 간 손상을 예측한다. 최적의 모델은 평가 지표에서 전반적으로 좋은 성능을 보인 random forest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델은 신약 후보물질의 잠재적인 간 손상을 미리 파악함으로써 신약 개발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