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비디오 행동 인식을 위한 적응적 주파수 필터링을 통한 시공간 모델링
http://doi.org/10.5626/JOK.2024.51.12.1078
비디오 데이터에서 장기적인 시공간 의존성을 모델링하는 것은 주요 도전 과제 중 하나이다. 그러나 CNN 계열 모델은 로컬 수용영역만을 반복하므로 비디오의 글로벌 컨텍스트를 포착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기존 CNN 모델과 쉽게 통합될 수 있는 효율적인 전역 시공간 모델링 방법을 제안한다. 우리 접근법은 이산 코사인 변환(DCT)을 활용하여 비디오 정보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한 후, 두 가지 적응적 필터링을 수행한다. 하나는 중복된 주파수를 제거하면서 중요한 정보를 보존하고, 다른 하나는 중요한 주파수를 강화하여 시공간 모델링을 개선한다. 또한, 우리는 다양한 숫자 행동(이동, 회전, 스케일링 등)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데이터셋인 DynamicMNIST를 소개한다. 세 가지 행동인식 벤치마크와 DynamicMNIST에 대한 평가 결과, 제안된 모듈이 추가 매개변수와 계산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다양한 CNN 모델에서 비디오 인식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보인다.
상용 시스템에서 구동 가능한 소프트웨어 기반의 안전한 분리 메모리 시스템
http://doi.org/10.5626/JOK.2024.51.9.757
분리 메모리 시스템은 여러 서버의 메모리를 통합해 응용에 대규모 메모리를 제공하는 기술이 다. 그런데 여러 서버의 메모리를 통합하기 때문에 한 서버의 보안 위협이 다른 서버로 쉽게 전파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존 연구들은 특수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추가 비용 이 발생하며 상용 서버에 즉시 도입하기 어렵다. 본 논문은 소프트웨어만을 활용한 분리 메모리 시스템 보 안 보장 기법을 제시한다. 제안 기법은 분리 메모리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을 방지하기 위 해 시스템 내 서버 간 전송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암호화와 무결성 검증을 소프트웨어로 수행한다. 소프트 웨어 구현으로 인한 성능 부하를 줄이기 위해 데이터 전송과 복호화를 중첩시키고 민감 데이터만 선택적 으로 암호화한다. 또, 암호화 메타데이터 크기를 최적화해 메모리 부하를 줄인다. 실험 결과, 분리 메모리 로 인한 성능 부하가 적은 경우 보안 기법 적용에 따른 추가 성능 부하가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다.
가상화 환경을 위한 QEMU/KVM 기반의 인메모리 블록 캐시 모듈 구현
http://doi.org/10.5626/JOK.2017.44.10.1005
가상화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 기술로 물리적 서버에 다수의 가상머신을 운영하여 서버 자원에 대한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관리의 편리성과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가상화는 물리적인 자원을 공유하기 때문에 가상머신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머신의 대수에 따라서 발생하는 입출력 부하를 검증하고, 성능 저하의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 KVM 하이퍼바이저의 블록 처리 과정을 분석하였다. 또한, 가상화 환경의 입출력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QBic(QEMU/K-VM Based In-Memory Cache)을 구현하였다. QBic은 하이퍼바이저의 블록 입출력 과정을 모니터링하여 사용빈도가 높은 데이터를 캐시에 저장한다. 이후 캐시를 통해 해당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접근할 수 있으며, 스토리지의 접근 횟수를 줄여 하드웨어의 부하를 낮출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성능 측정을 통해 그 결과를 기술한다.
대용량 데이터 분석을 위한 맵리듀스 기반 kNN join 질의처리 알고리즘
최근 모바일 기술의 발달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성화를 통해 사용자 데이터가 급격히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용량 데이터에 대한 효율적인 데이터 분석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대용량 데이터 분석 기법으로는 맵리듀스 환경에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k 최근접점 조인(VkNN-join) 알고리즘이 존재한다. 데이터집합 R, S에 대해, VkNN-join 알고리즘은 부분집합 Ri에 연관된 부분집합 Sj만을 후보탐색 영역으로 선정하여 질의처리를 수행하기 때문에, 대용량 데이터에 대한 join 질의처리 시간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VkNN-join은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사용하기 때문에, 색인 구축 비용이 높은 단점이 존재한다. 아울러 kNN 질의처리를 위한 후보 영역선정 시 k값에 비례하여 후보영역의 크기가 증가하기 때문에, kNN 연산 오버헤드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데이터 분석을 위한 맵리듀스 기반 kNN join 질의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질의처리 알고리즘은 시드 기반의 동적 분할을 통해 색인구조 구축비용을 절감한다. 또한 시드 간 평균 거리를 기반으로 질의 처리 후보 영역을 선정함으로써, kNN-join 질의를 위한 연산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아울러, 성능 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질의처리 시간 측면에서 기존 기법에 비해 우수함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