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육군정보체계 관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가시화 사례
http://doi.org/10.5626/JOK.2018.45.9.904
현대의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조업 같은 공정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특히 육군의 정보시스템은 정보체계 개발 및 산출물 관리가 다소 미흡하다. 따라서 군 자체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의 고급화와 요구사항 추적 자동화가 필요하다. 또한 유지보수에서도 보수 지연, 비용 초과, 품질저하 등의 개선이 요구된다. 이런 문제 해결을 위해, 오픈소스 기반의 프로세스 가시화, 아키텍처 가시화, 문서 가시화 중에 프로세스 가시화를 적용했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 관련 모든 이해관계자들에게 소프트웨어 개발 모든 과정의 투명성과 추적성으로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확보했다. 이는 품질 지표 및 결과 가시화 그리고 스케줄 관리 및 통제가 가능하여 군 소프트웨어를 고품질화를 지속시킬 수 있다.
국내 중소규모기업의 테스트 조직을 위한 경량화된 테스트 성숙도 모델
http://doi.org/10.5626/JOK.2018.45.6.522
고품질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개발 및 관리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국내 기업에서는 TMMi와 같은 소프트웨어 인증을 통해 조직의 소프트웨어 품질을 개선하고자 한다. 그러나 기존의 소프트웨어 품질 모델은 규모가 있는 조직을 대상으로 수행해야 될 활동과 프로세스의 양이 많다. 또한 TMMi와 같은 테스트 인증을 준비하는 경우에도 많은 시간, 인력 및 비용이 소요된다. 이런 이유로 TTA는 우리 실정의 소프트웨어 산업 환경 및 테스트 조직의 현실을 반영한 인증 모델 개발 필요성이 생겼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중소 테스트 조직을 위한 테스트 성숙도 모델(Simplified Test Maturity Model: sTMM)의 경량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의 절차는 기존 테스트 성숙도 모델들을 비교·분석하고 핵심 요소 축소화를 통해 요소별 활동을 정의한다. 제안한 테스트 성숙도 모델은 국내 두 중소기업에 시범 적용하여 테스트 조직의 성숙도 평가 및 개선 가이드를 제공했다. 결국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 품질 개선 그리고 시간과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