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 author: Yoon Jo Kim ] (2)

다중 MR 영상에서 크기 정규화 및 다중 손실함수를 사용한 딥러닝 모델 기반 전립선암 악성도 예측 개선

김윤조, 정주립, 황성일, 홍헬렌

http://doi.org/10.5626/JOK.2023.50.10.866

전립선암은 전 세계적으로 남성에서 두 번째로 흔하게 발생되는 암이며, 악성도에 따라 재발 가능성 및 치료의 효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전립선암의 악성도를 예측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다중 파라미터 자기공명영상에서 전립선암의 악성도를 예측하기 위해 크기 정규화를 적용하여 작은 종양에 대한 정보를 강화한다. 또한, 시각적 특징이 유사하지만 악성도가 다른 종양을 구분하기 위해 다중 손실함수를 제안한다. 실험 결과, ADC 맵 크기 정규화 패치로 학습한 제안된 모델은 정확도 76.28%, 민감도 76.81%, 특이도 75.86%, AUC 0.77의 성능을 보인다. 또한 1.5cm 미만인 작은 종양에서 종양 중심 패치와 비교하여 크기 정규화된 ADC 맵이 정확도 76.47%, 민감도 90.91%, 특이도 69.57%로 각각 17.65%, 27.27%, 13.05%의 향상된 성능을 보인다.

흉부 X-선 영상에서 밝기값 정규화 및 다중 스케일 폐-집중 패치를 사용한 앙상블 딥러닝 모델 기반의 폐렴 자동 분류

김윤조, 안진서, 홍헬렌

http://doi.org/10.5626/JOK.2022.49.9.677

소아 흉부 X-선 영상(CXR)은 밝기값이 불규칙하여 정상과 폐렴을 구분하기 어렵다. 또한 딥러닝 모델은 폐의 외부 영역에 잘못 집중하여 CXR을 오분류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은 CXR 영상에서 밝기값 정규화 및 다중 스케일 폐-집중 패치를 사용한 앙상블 딥러닝 기반 폐렴 자동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첫째, 불규칙한 폐 내부 밝기값을 개선하기 위해 세 가지 밝기값 정규화 방법을 각각 수행한다. 둘째, 폐 내부에 집중하여 학습하기 위해 폐 영역을 분할하여 관심 영역을 추출한다. 셋째, 다중 스케일 폐-집중 패치를 사용하여 폐렴의 특징을 학습한다. 마지막으로 분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텐션 모듈을 추가한 앙상블 모델을 사용한다. 실험 결과, CLAHE를 적용한 큰 크기의 패치 사용 시 정확도 92%로 원 영상 대비 5%p 향상된 성능을 보였다. 또한 큰 크기와 중간 크기의 패치를 앙상블한 제안 방법이 정확도 93%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Search




Journal of KIISE

  • ISSN : 2383-630X(Print)
  • ISSN : 2383-6296(Electronic)
  • KCI Accredited Journal

사무국

  • Tel. +82-2-588-9240
  • Fax. +82-2-521-1352
  • E-mail. chwoo@kiis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