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도로 교통망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변화를 반영한 경로 추천
http://doi.org/10.5626/JOK.2019.46.1.77
위치기반 서비스는 지도 및 주변 정보를 제공하거나 특정 목적지까지 가기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그 중 경로 추천 시스템은 각 사용자의 경로에 대한 평가 기준에 가장 적합한 경로를 추천하는 시스템이다. 기존의 개인화된 경로 추천 시스템은 시간대의 변화와 관계없이 사용자의 선호도가 일정하다는 가정하에서 추천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는 오전 시간대에는 이동 거리를 중시하고, 오후 시간대에는 위험도를 중시하는 것처럼 시간대마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가 다른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논문은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시간 속성을 고려한 다익스트라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계산 비용을 줄이기 위해 G-tree 인덱스 구조를 사용하여 시간대에 따른 선호 요소 가중치 변화를 반영한 경로를 탐색할 수 있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사용자와 이동 객체의 움직임을 동시에 고려한 예측 질의처리 기법
http://doi.org/10.5626/JOK.2018.45.12.1302
최근 GPS가 탑재되어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센서로부터 얻은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들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공간 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기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예측 공간 질의처리 연구들에서 사용자의 이동을 고려하지 않아 원하는 질의 결과를 반환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도로 교통망 환경에서 사용자의 이동시간과 대기시간을 고려했을 때 도달 가능성이 높은 최적의 K개의 이동 객체를 반환하는 예측 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하며, 이 과정에서 사용자와 이동 객체의 움직임을 동시에 고려하여 이동 범위를 단계적으로 확장함으로써 불필요한 계산을 줄이는 기법을 적용한다. 또한 적절한 인덱스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정점과 이동 객체의 수가 많은 환경에서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도로 교통망 환경에서의 실험을 통해 효율성 측면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