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 keyword: 문체 변환 ] (2)

성격유형별 문체 특성 기반 맞춤형 광고 메시지 자동생성 연구

성지민, 최윤종, 곽도연, 김한샘

http://doi.org/10.5626/JOK.2024.51.1.23

이 연구는 MBTI의 심리 기능지표 조합의 유형별 특징을 반영한 마케팅 문체 프레임워크를 정의하고 모델 학습을 통해 성격유형별 맞춤화 된 광고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광고 메시지 자동 생성 기술은 BART 모델에 성격유형을 Prefix로 포함한 광고문을 학습시켜 성격유형에 따라 맞춤형 광고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식이다. 학습된 모델은 Prefix 조작만으로 MBTI 성격유형별 문체 특징을 갖춘 광고 메시지로 변환되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성격유형의 특징을 문체 프레임워크로써 정의하고 이에 기반한 모델 학습을 통해 유형별 문체 특징과 소구점을 포함한 광고 메시지를 생성했다는 기술적 가치가 있다. 본 연구는 마케팅 분야에서의 실무적 활용 가능성 뿐만 아니라 지역 및 언어 간 문체 차이를 구조화하거나 재현해야 하는 문제에서 기반이 되는 연구로 활용될 수 있다.

비지도 기계 번역을 이용한 채팅체 문체 변환

정영준, 이창기, 황정인, 노형종

http://doi.org/10.5626/JOK.2023.50.1.19

문체 변환(style transfer)은 소스 문체(source style)로 쓰여진 텍스트가 주어지면 내용(content)을 유지하면서 타겟 문체(target style)의 텍스트를 생성하는 작업이다. 일반적으로 내용은 불변성(invariance), 문체는 가변성(variance)이라고 가정하여 텍스트의 문체를 변환하게 된다. 하지만, 채팅체의 경우 기존의 문체 변환 모델로 학습이 잘 안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지도 기계 번역(unsupervised machine translation)을 이용한 문체 변환 모델을 사용하여 채팅체를 문어체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변환된 결과를 활용하여 문체 변환에 사용될 수 있는 문체 간 단어 변환 사전을 구축할 수 있음을 보인다. 추가로, 변환된 결과 쌍에 대해 잘 변환된 결과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필터링 방법을 적용하고, 필터링 된 결과를 이용한 지도 학습 방법으로 문체 변환 모델을 학습하여 변환 결과가 개선됨을 보인다.


Search




Journal of KIISE

  • ISSN : 2383-630X(Print)
  • ISSN : 2383-6296(Electronic)
  • KCI Accredited Journal

사무국

  • Tel. +82-2-588-9240
  • Fax. +82-2-521-1352
  • E-mail. chwoo@kiis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