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IoT 기기 플래시 메모리의 Ext4 파일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포렌식 절차
http://doi.org/10.5626/JOK.2021.48.8.865
최근 급격한 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IoT(Internet of Things)의 확산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IoT 기기는 인간의 삶과 밀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범죄 및 사고 경황 정보 조사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포렌식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그 수행 절차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IoT 기기는 상이한 규격으로 인해 실제 현장에서 사용될 수 없는 추상적인 방법론을 제시하는 연구가 대부분이다. 또한 펌웨어 분석 도구로 활발히 사용되는 binwalk 분석 도구는 ext4 파일 시스템에 대한 분석 및 추출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binwalk의 올바른 ext4 파일 시스템 추출 및 분석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해 IoT 기기의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ext4 파일 시스템을 추출하는 절차를 제안한다. 또한, DJI Phantom 4 Pro V2.0 드론으로 PoC를 구현하여 제안하는 절차를 검증한다.
A Study on the Intelligent Delivery Management System Using UAV-Edge Computing Technology
Chu Myaet Thwal, Minkyung Lee, Choong Seon Hong
http://doi.org/10.5626/JOK.2020.47.12.1208
최근 디지털 및 사물인터넷(IoT) 기술의 발전으로 전세계 도시가 스마트시티로 빠르게 변모하는 추세이다. 또한 IoT 기술과 더불어 무인항공기(UAV) 역시 값이 저렴하고, 더 성능이 우수하며 안정적인 방향으로 기술이 발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oT와 UAV 기술을 통합 활용한 UAV 지능형 딜리버리 운영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제안사항은 딜리버리 서비스의 운영 지연 시간을 줄이고 사용자에게 더 빠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혁신적인 시스템이다. 딜리버리 전체 과정은 소매점과 UAV 간의 전달자로서 역할을 하는 엣지 기반의 제어 스테이션에서 관리한다. 해당 제어 스테이션은 도시 지역에 분산되어 있으며, 소매점들과 UAV 간의 효율적인 연계관리기능을 수행하여 UAV에 최적 딜리버리 역할을 할당한다. 스마트 시티 애플리케이션에 제안된 지능형 딜리버리 방식을 적용하면 노동력 부족과 교통 상황으로 인한 배송 지연을 줄일 수 있고, 고객에게 더 빠르고 좋은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자원제약 내장형 시스템을 위한 컨볼루션 뉴럴 네트워크 모델 자동 경량화 프레임워크
http://doi.org/10.5626/JOK.2020.47.2.136
최근 다양한 컨볼루션 뉴럴 네트워크 응용프로그램을 사물인터넷과 같은 자원제약이 심한 내장형 시스템에서 직접 동작시키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내장형 시스템은 연산 속도와 메모리가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동작시킬 수 있는 뉴럴 네트워크 모델의 크기가 제약되고 실시간성을 만족하지 못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뉴럴 네트워크 모델을 메모리와 수행시간 요구사항을 만족 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경량화하고 타겟 내장형 시스템에서 수행 가능한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다양한 수행시간과 메모리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도록 뉴럴 네트워크 모델을 서로 다른 성능을 가진 STM32 Nucleo 보드들에 맞게 경량화 하였다.
사물인터넷에서 이동장치 정보를 이용한 센서 데이터 수집 성능 향상 방안
http://doi.org/10.5626/JOK.2020.47.1.109
최근, 무선 센서의 활용증가와 스마트폰 등 통신기능을 가진 이동장치들의 폭발적인 보급으로 인해, 센서 데이터를 이동장치로 수집하는 기회적 데이터 수집방안(ODC)이 제안되었다. ODC 는 추가적인 네트워크 인프라의 구축/운용비용 없이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ODC 에서는 이동장치의 예측 불가능한 이동성 때문에 센서와 이동장치 사이의 통신시간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기존방안들은 신뢰성이 높은 보수적인 흐름제어를 활용한다. 하지만, 이 방식은 긴 시간 통신하는 경우, 데이터 전송률을 급격히 저하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ODC의 데이터 전송률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흐름제어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방안은 이동장치의 이동정보를 이용해 센서와의 통신가능시간을 계산하고, 그에 따라 흐름제어 방식을 다르게 적용한다. 즉, 통신가능시간이 길 때는 효율성, 짧을 때는 신뢰성을 고려하는 흐름제어 방식을 가변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신뢰성을 떨어뜨리지 않고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IoT 환경에서 자율적인 컨텍스트 인지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맨틱 웹 기반의 게이트웨이 시스템
http://doi.org/10.5626/JOK.2019.46.7.706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시장의 성장에 따라 독립적으로 개발된 플랫폼 간의 원활한 연결이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서비스를 탐색하고, 디바이스를 구성하면서 사람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동 구성(Auto-configuration)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완전 자율 시스템(Fully Autonomous Systems)을 지향하기 위해서는 자동 구성을 넘어서 기계가 상황을 인지함으로써 사물 간 자율적 인터랙션 수행이 가능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맨틱 웹(Semantic Web) 기술을 적용하여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컨텍스트 인지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디바이스의 상태 및 사용자 정의 룰을 인지함으로써 자율적으로 사물 간 인터랙션을 수행한다. 실제 환경에서 구현한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서비스 기반 V2X 소프트웨어 환경에서의 서비스 소비 품질 최적화 방법
http://doi.org/10.5626/JOK.2019.46.7.664
최근 컴퓨팅 기술의 발전에 따라 차량-사물 통신 환경과 같은 대규모 가상 물리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그 중 차량-사물 통신 환경에 서비스 컴퓨팅을 적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서비스 기반 차량-사물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는 사물 인터넷 기기를 통해 서비스를 전달받는데, 기존에는 사용자의 서비스 소비를 네트워크적인 관점에서만 바라보고 있다. 그러나 이는 사용자 관점에서 소비되는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할 수 없다. 그러므로 차량-사물 통신 환경에서 서비스 소비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기반의 차량-사물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의 서비스 소비 품질을 고려하기 위해 서비스 효과도를 정의하고 서비스 핸드오버로 인한 서비스 소비 지연 시간에 대해 다룬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최적 서비스 소비 계획을 구하고, 기존의 네트워크 관점만을 고려한 방법들과 비교 평가한다.
사물 인터넷 미들웨어에서 날씨 온톨로지 시스템
http://doi.org/10.5626/JOK.2019.46.1.97
날씨 정보에 대한 중요성의 확대로 사물 인터넷 기반의 날씨 정보 응용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날씨 응용 프로그램은 방대한 양의 날씨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 및 관리하지 못한다. 또한 날씨 데이터가 보유하고 있는 속성 정보를 활용하지 않으므로 날씨 데이터가 내포하는 의미를 활용한 지능적 검색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물인터넷 미들웨어인 MinT를 활용하여 날씨 정보 관리 온톨로지 시스템을 구축 한다. 사물인터넷 미들웨어에서 온톨로지를 적용하여 방대한 양의 날씨 센싱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추론엔진과 규칙기반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수집된 센싱 데이터에 의미를 부여하였다. 구축된 날씨 온톨로지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질의에 검색결과를 UI를 통해 제공하였다. 성능평가를 위하여 성능척도로 검색결과에 대한 유용성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에서 제안된 날씨 온톨로지 시스템은 높은 유용성을 가진 검색 결과를 제공함을 보였다.
IoT 환경에서 oneM2M 플랫폼을 이용한 웹 기반 통합 관리 시스템
http://doi.org/10.5626/JOK.2018.45.10.1104
오늘날 사물인터넷은 M2M(Machine to Machine)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디바이스간 연결성이 증가하고 있다. 디바이스간 연결에는 표준화된 통신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간 안정적인 통신을 위한 표준화 방식으로 oneM2M 표준이 IoT 디바이스에서 사용되고 있다. oneM2M은 CRUDN(Create, Retrieve, Update, Delete, Notify) 오퍼레이션을 통해 자원을 요청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기존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접근성 면에서 불편하고 실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IoT 디바이스를 oneM2M 리소스화 시켜 관리하며 사용자가 웹 환경에서 실시간 리소스 정보와 로그를 확인하도록 구현하였다.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기반 이동성 관리
문보영, 조승철, 손사민, 김현숙, 김청빈, 김준혁, 한선영
http://doi.org/10.5626/JOK.2018.45.7.733
IoT 환경에서는 사물 주소, 배터리, 네트워크 대역폭, 컴퓨팅 파워 등의 다양한 제약을 받게된다. 이동성 관리 측면에서도 프로토콜이 복잡하면 이동하는 IoT 단말기에게 큰 부하를 준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하는 IoT 단말기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SDN(Software Defined Networking)의 중앙집중형 관리 방식을 적용한 이동성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SDN은 프로그래밍이 가능하기 때문에 IoT 단말의 확장성 및 관리가 용이하다. IoT를 위한 SDN기반 이동성 구조를 제시하고 이 구조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설계 및 테스트 베드를 구축하여 구현하였다.
Smart Agent based Dynamic Data Aggregation for Delay Sensitive Smart City Services
Md. Shirajum Munir, Sarder Fakhrul Abedin, Md. Golam Rabiul Alam, Do Hyeon Kim, Choong Seon Hong
http://doi.org/10.5626/JOK.2018.45.4.395
스마트시티는 녹색기술과 더불어 지속가능한 사회 발전을 위한 현대의 지능형 기술의 비전이다. IoT 기반의 스마트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운송, 스마트 건강, 스마트 홈, 스마트그리드, 스마트 보안등의 응용프로그램은 질높은 삶과 웰빙생활을 보장하는 스마트시티의 핵심 원동력이다. 이러한 서비스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은 다수의 IoT노드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해야한다. 이 경우, 스마트 시티의 중앙 집중식 네트워크에서 거대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관리하는 것이 더 어려워진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시티의 분산된 고밀도 네트워크에서 Dynamic Data Aggregation기반의 스마트에이전트를 도입하여 여러 서비스 제공 업체 및 현명한 시민들의 서비스 요청을 충족시킴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하는 스마트 에이전트 기반 동적 데이터 집적 모델의 결과를 시뮬레이션 한 결과, 서비스 이행시간과 컨버전스와 관련하여 제안된 접근법에 대한 성능이 향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