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경로 예측 알고리즘의 빠른 투영 후보 선택을 위한 경로 단편 관리 구조
이 논문에서는 기존 경로 예측 알고리즘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투영 후보 선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지금까지 다양한 사용자 이동 경로 예측 알고리즘이 개발되었으나 실시간 근거리예측 환경에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예측 알고리즘이 제안되었으나 몇 가지 문제점을 지닌다. 특히 보다 빠른 처리 속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기존 예측 알고리즘의 높은 처리 시간의 주된 원인은 투영 후보 선택 연산의 높은 시간 복잡도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기존 투영 후보 선택 알고리즘의 처리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경로 단편 관리 구조와 향상된 투영 후보 선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비교 평가를 통해 이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이 효과적임을 보인다.
스마트폰상의 지능형 개인화 서비스를 위한 강인한 파티클 필터 기반의 사용자 경로 예측
스마트폰내 GPS 및 다양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의 이동 패턴을 학습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목적지와 경로를 예측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지능형 개인화 서비스(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위치기반 개인화 서비스의 지능성은 불완전한 센서 데이터로부터 사용자 이동 정보를 처리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경로를 예측하는 정확성과 효율성에 좌우된다. 본 논문은 불완전한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경로와 목적지를 추론하는 동적 베이지안 네트워크 기반의 강인한 파티클 필터(Robust particle filter)를 제안한다. 제안한 강인한 파티클 필터 방법은 부정확하고, 불완전한 센서 정보를 보완할 수 있는 파티클 생성, 실시간에 계산 복잡도를 감소시키는 효율적인 스위칭 함수와 가중치 함수, 파티클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재표본화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목적지와 경로의 예측 정확성과 효율성의 성능을 향상시켰다.
신약 후보 물질의 ADMET 속성 예측을 위한 사전학습 모델 기반의 일반화 성능 향상 기법
http://doi.org/10.5626/JOK.2025.52.7.601
신약 개발 과정에서 ADMET(흡수, 분포, 대사, 배설, 독성) 속성의 정확한 예측은 임상 시험 실패율을 낮추고 개발 비용을 절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래프 트랜스포머 기반의 분자 임베딩과 사전 학습된 UniMol 모델 기반의 임베딩을 결합하여 신약 후보 물질의 ADMET 예측 성능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델은 분자의 그래프 구조에서 결합 유형 정보를 반영하여 보다 화학적으로 정교한 표현을 생성하며, UniMol의 사전 학습된 3D 임베딩을 활용하여 분자의 공간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학습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 부족 문제를 보완하고, 모델의 일반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10개의 ADMET 속성을 대상으로 예측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된 모델은 기존 방법들보다 우수한 예측 성능을 보였으며, 원자의 결합 정보와 3D 구조를 효과적으로 통합함으로써 ADMET 속성 예측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조기 예측을 위한 시계열 데이터 불균형 해소 기법
http://doi.org/10.5626/JOK.2025.52.7.593
시계열 예측은 관측된 시계열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래의 값을 예측하는 중요한 문제다. 그러나, 데이터가 불균형할 경우, 모델의 성능이 저하되고 예측 결과에 편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다양한 딥러닝 기법과 데이터 증강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지만, 많은 연구들이 불균형 문제와 시계열 특성을 동시에 고려하지 못하여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적 패턴을 활용하여 샘플을 생성하는 조기 예측을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긍정 및 부정 클래스를 효과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시점을 선정하여, 더 먼 시차에 대한 예측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방법들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더 멀리 있는 시차에 대한 조기 예측의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딥러닝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당분기 GDP 예측 성능 분석
http://doi.org/10.5626/JOK.2022.49.10.873
본 논문에서는 최근 각광 받고 있는 딥러닝 시계열 모형을 활용한 GDP 성장률 예측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빈도가 낮은 다수의 경제 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예측 성능을 보장하기 위한 앙상블 딥러닝 방식과, 경기변동 상황에서도 적응적 성능을 보장하기 위한 점진적 학습방법을 채택한다. 학습에 있어 경제부문 정보를 활용하여 성능이 개선됨을 보임으로써 도메인 지식과의 융합의 필요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적응적 예측력을 제공하기 위한 AI 운영화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코로나-19 기간에 대한 전통적 기계학습 모형과의 성능 비교를 통해 급격한 경기변동 하에서 딥러닝이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예측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증명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딥러닝 기반의 적응적 AI 알고리즘은 AI 운영화 기술을 통해 딥러닝 기반 자율 적응 경제예측 시스템으로 발전할 것을 기대한다.
개체 유형 정보를 활용한 지식 그래프 임베딩
http://doi.org/10.5626/JOK.2022.49.9.773
지식 그래프 임베딩은 그래프의 구조적 특성을 반영하여 개체와 관계를 특성 공간에 나타내는 기술이다. 대부분의 지식 그래프 임베딩 모델은 그래프 구조 이외의 정보를 가정하지 않고 특징 벡터를 생성한다. 하지만 실생활과 밀접한 지식 그래프는 개체의 유형 정보 등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체의 유형이 클러스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유형 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손실 함수를 통한 지식 그래프 임베딩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지식 그래프 내 관계의 주어/술어에 해당하는 유형이 제한적이라는 관찰을 토대로 개체 유형 제한에 특화된 네거티브 샘플링 기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모델에 대한 링크 예측을 평가하기 위해 개체 유형 제한을 가진 지식 그래프인 SMC 데이터 셋을 생성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링크 예측 결과는 본 모델이 네 개의 베이스라인 모델과 비교해서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중 인코더 구조를 활용한 기계번역 품질 예측
http://doi.org/10.5626/JOK.2022.49.7.521
기계번역 품질 예측은 기계가 번역 문장의 품질을 주어진 정답 번역 문장이 없이 예측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에 품질 예측 분야의 연구 동향은 다량의 병렬 말뭉치로 학습된 트랜스포머 인코더 기반의 사전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전이 학습을 적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품질 예측과 같은 교차 언어 태스크에서 단일 인코더 구조가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코더에서 각 언어에 대한 단일 언어 표현을 개별적으로 학습하고 상호 참조망에서 교차 언어 표현을 학습하는 이중 인코더 구조를 제시한다. 이중 인코더 구조가 단일 인코더 구조보다 품질 예측 태스크에서 구조적으로 유리함을 입증하고, 나아가 이중 인코더 모델에 사전학습된 언어 모델을 적용하여 품질 예측 태스크에서 이중 인코더 모델의 성능과 안정성을 높인다. WMT20 품질 예측 영어-독일어 쌍에 대해서 실험을 진행했다. 사전학습 모델로서 영어 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BERT) 언어 모델과 독일어 BERT 언어 모델이 각각의 인코더에 적용되었고 가장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었다.
시각적 관계 예측을 위한 계산 효율적인 조합적 전이 표현 학습법
http://doi.org/10.5626/JOK.2022.49.7.544
장면 그래프는 이미지에 존재하는 객체 사이의 고차원 시각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널리 활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장면 그래프를 자동으로 구축하기위해 객체 사이의 시각 관계를 감지하고 그 관계를 술어로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우리는 기존에 제시된 텍스트 기반 지식 그래프 임베딩 TransR에서 영감을 받아 i) 시각적 관계의 구성적 관점을 고려하기 위한 잠재 관계 부분 공간을 정의하고 ii) 각 부분 공간에서 객체 표현 사이의 전이적 제약을 적용하는 CompTransR을 제시한다. 장면 그래프 생성을 위한 대표적인 벤치마크 데이터인 VRD, VG200 및 VrR-VG에서 제안하는 방법론은 기제시된 모델과 비교하여 학습 복잡도를 줄이는 동시에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또한, 높은 수준의 시각-언어 추론을 요구하는 문제 중 하나인 이미지 캡션 검색에 장면 그래프가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이고, 제안하는 알고리즘으로 예측된 술어 표현이 검색 성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됨을 확인하였다.
노드와 링크간의 상호작용을 동시에 반영한 그래프 어텐션 네트워크 기반 지식 그래프 임베딩
http://doi.org/10.5626/JOK.2022.49.7.555
지식 그래프는 실제 세계의 다양한 지식들을 노드와 링크 기반의 트리플 형태로 표현하는 지식구조로서 검색, 질의 응답 등의 여러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된다. 이런 지식 그래프는 불완전하며, 누락된 다른 관계들을 찾기 위해 노드와 링크를 저차원 벡터공간에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임베딩 기법들이 많이 연구되었다. 최근 뉴럴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그래프 링크 예측 방법이 많이 연구되었지만, 기존 모델들은 노드에 대한 트리플의 중요도를 구할 때 노드와 링크를 독립적으로 고려하므로 트리플 내의 노드와 링크의 상호작용이 잘 반영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합성연산자를 이용하여 노드와 링크를 동시에 고려하여 트리플 단위의 중요도를 구하는 임베딩 방법을 제안하며 해당 모델이 지식 그래프 링크 예측에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증명한다.
지리적 인접성을 이용한 아파트 가격변화율 예측 모델 개발
http://doi.org/10.5626/JOK.2022.49.6.424
최근 들어 금관구, 노도강, 마용성 등 주택가격이 권역별로 변동하는 탈동조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해당 현상의 특징은 각 권역이 지리적으로 가까운 구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서울시의 인접한 자치구들 사이에는 가격이 상호 동조한다고 보고 가격 변동이 인접 지역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 검증에는 아파트 가격변화율, 거시경제지표 및 사교육 지표가 사용되며 이는 3차원(시간, 거리, 속성)의 데이터로 조립되고 CNN으로 학습된다. 조립 방식에 따라 모델은 3가지 하위 모델(타깃 지역만 고려(I), 원거리 지역 고려(II), 이웃 수 변경(III))로 세분되며 성능은 MAE와 MDA로 측정된다. 실험 결과, 이웃을 사용한 모델은 영속성 모델과 XGBoost 보다 좋은 성능을 보였고 하위 모델은 모델 III(이웃 수 3인 경우), II, I 순으로 좋은 성능을 보였다. 이를 통해 ‘이웃’이 타깃 지역의 아파트 가격변화율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