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AttDRP: 주의집중 메커니즘 기반의 항암제 약물 반응성 예측 모델
http://doi.org/10.5626/JOK.2021.48.6.713
암환자 중 일부는 항암제에 대한 약물 저항성을 보여 약물을 이용한 항암치료를 어렵게 만든다. 약물 저항성은 암세포의 유전체 이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밝혀져, 암세포주 및 항암제에 대한 약물 반응성 데이터를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 연구들은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약물 민감성 또는 저항성을 예측하는 모델을 여럿 제안하였으나, 항암제와 유전자의 관계를 학습하는 모델의 부재로 인하여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한 여지가 남아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주의집중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항암제 관련 유전자들을 식별하고, 그러한 유전자들 정보에 기반하여 항암제 반응성을 예측하는 AttDRP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CCLE 데이터에서 기존 모델들보다 높은 예측 정확도를 보여주었고, AttDRP이 학습한 주의집중 스코어가 항암제의 분자구조 분석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건 단어 주의 집중 메커니즘을 적용한 단일 문장 요약 생성
http://doi.org/10.5626/JOK.2020.47.2.155
요약이란 자연어 처리 연구 분야 중 하나로, 입력으로 주어진 정보 중 중요한 내용은 유지하면서 문장을 짧게 만드는 태스크이다. 그 중 단일 문장을 대상으로 한 요약 연구 중 입력 문장의 단어를 요약 문장에 사용할지 버릴지를 이진 분류하여 단어를 추출하여 요약을 수행하는 방법과 입력 문장을 기반으로 요약 문장을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 기존의 추출 요약 연구들은 단어의 구조적 정보를 사용하여 이진 분류를 수행하였고, 문장을 생성하는 방법들은 순환신경망을 이용하여 요약 문장을 생성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 방법은 중요한 정보를 누락하고 불필요한 정보로 요약을 생성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무엇을 행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사건 단어를 사용하여, 중요한 정보에 집중하여 요약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건 단어 주의집중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입력으로 문장 내 각 단어의 임베딩 벡터와 사건 단어 정보가 제공됐을 때, 제안한 방법은 사건 단어에 주의 집중할 수 있도록 사건 단어 정보를 사용하여 주의집중 가중치를 계산하고, 이 가중치는 기존의 모델에 결합하여 사용된다. 실험은 영어와 한국어 데이터 셋에서 수행되었으며, 기존 모델에 제안한 방법을 결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 모델보다 제안한 방법을 적용한 모델이 높은 성능을 얻어, 제안한 방법이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