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지속적인 그래프 임베딩에서 효과적인 중요도 기반 개체 그룹화 기법
http://doi.org/10.5626/JOK.2025.52.7.627
본 연구는 지속적인 그래프 임베딩에서 개체 중요도 평가의 정확성을 개선하기 위해 관계의 매개 중심성을 가중치 기반 페이지랭크 알고리즘의 가중치로 적용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안한다. 간선 매개 중심성을 정규화해 모델에 통합함으로써, 제안 기법은 간선을 통한 정보 흐름의 중요성을 반영하면서 개체 중요도를 효과적으로 전파해 네트워크 전반의 학습 성능을 향상시킨다. 실험 결과, 다양한 데이터셋 에서 MRR 및 Hit@N 지표에서 기존 기법 대비 유의미한 성능 향상을 보였다. 특히, 새로운 개체와 관계가 지속적으로 추가되는 환경에서 제안 방법은 첫 번째 스냅샷 이후 높은 성능 개선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관계의 중심성을 활용한 개체 중요도 전파가 지속적인 지식 그래프 임베딩의 학습 효율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노드와 링크간의 상호작용을 동시에 반영한 그래프 어텐션 네트워크 기반 지식 그래프 임베딩
http://doi.org/10.5626/JOK.2022.49.7.555
지식 그래프는 실제 세계의 다양한 지식들을 노드와 링크 기반의 트리플 형태로 표현하는 지식구조로서 검색, 질의 응답 등의 여러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된다. 이런 지식 그래프는 불완전하며, 누락된 다른 관계들을 찾기 위해 노드와 링크를 저차원 벡터공간에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임베딩 기법들이 많이 연구되었다. 최근 뉴럴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그래프 링크 예측 방법이 많이 연구되었지만, 기존 모델들은 노드에 대한 트리플의 중요도를 구할 때 노드와 링크를 독립적으로 고려하므로 트리플 내의 노드와 링크의 상호작용이 잘 반영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합성연산자를 이용하여 노드와 링크를 동시에 고려하여 트리플 단위의 중요도를 구하는 임베딩 방법을 제안하며 해당 모델이 지식 그래프 링크 예측에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증명한다.
EFA-DTI: Edge Feature Attention을 활용한 약물-표적 상호작용 예측
에르햄바야르 자담바, 김수헌, 이현수, 김화종
http://doi.org/10.5626/JOK.2021.48.7.825
신약개발은 의약 화학, 시스템 및 구조 생물학, 더 나아가 인공지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학문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난이도가 높은 분야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약물-표적 상호작용(DTI) 예측은 방대한 양의 화합물로부터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후보 물질을 도출해내는 과정으로, 신약 개발 과정에 있어 핵심 요소다. 최근에는 컴퓨터 성능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DTI 예측에 소요되는 여러 측면의 비용을 줄이고자 인공지능 신경망을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Edge Feature Attention을 적용한 Graph Net Embedding 및 Fingerprint를 활용한 약물 표현 생성과 ProtTrans를 활용한 단백질 표현 생성을 통해 약물과 표적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 수치를 예측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해당 모델은 기존의 DTI 연구에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던 DeepDTA, GraphDTA보다 높은 성능을 달성하였으며, 이에 대한 실험 및 결과를 기술하였다.
LSTM 오토인코더를 이용한 가중 그래프 임베딩 기법
http://doi.org/10.5626/JOK.2021.48.1.13
그래프 임베딩이란 그래프를 저차원 공간의 벡터로 표현하는 것이다. 최근, 딥러닝을 사용해 그래프를 임베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그래프의 노드 간 연결 구조에 집중하고 노드간 간선에 임의의 가중치를 갖는 가중 그래프에 대한 임베딩 기법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중 그래프를 위한 새로운 임베딩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가중 그래프가 주어지면 먼저 해당 그래프의 내부에 존재하는 노드-가중치 시퀀스들을 추출한 다음 LSTM 오토인코더를 사용해 각 시퀀스들을 고정된 길이의 벡터로 인코딩한다. 마지막으로 각 그래프의 인코딩 벡터들을 모아 하나의 최종 임베딩 벡터를 생성한다. 이렇게 얻어진 임베딩 벡터는 가중 그래프간 유사도 측정이나 분류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여러 유사 가중 그래프 그룹들로 구성된 합성 데이터와 실제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제안 기법이 유사 가중 그래프를 탐색하는데 94% 이상의 정확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