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 keyword: Large Language Models (LLMs) ] (3)

멀티모달 그래프-SMILES 표현을 통한 거대 언어 모델에서의 분자 이해 향상

http://doi.org/10.5626/JOK.2025.52.5.379

최근 거대 언어 모델의 발전은 다양한 과업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이며, 특히 멀티모달로 확장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BLIP-2는 Q-Former를 통해 이미지와 문자를 효율적으로 정렬하여 성능을 높였으며, 멀티모달 데이터로 사전 학습되어 고정된 이미지 인코더가 이를 지원한다. 이러한 발전에 영감을 받아 MolCA 모델은 분자 분야에 BLIP-2를 확장하여 성능을 높였지만, 그래프 인코더는 단일모달 데이터로 사전 학습되어 모델 학습 중 갱신이 필요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를 멀티모달 데이터로 사전 학습된 그래프 인코더로 대체하고 고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실험 결과, 멀티모달 데이터로 사전 학습된 그래프 인코더를 사용할 때 성능이 대체로 향상되었으며, 단일모달 데이터로 사전 학습된 그래프 인코더는 갱신할 때 성능이 높은 것에 비해 멀티모달 데이터로 사전 학습된 그래프 인코더는 갱신하지 않을 때 모든 지표에서 성능이 더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LLM 기반의 제로샷 문장 수준 단락 정제를 활용한 검색 증강 생성

황태호, 정소영, 조석민, 박종철

http://doi.org/10.5626/JOK.2025.52.4.304

본 논문은 강화학습 기반 자율이동체의 학습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사도 기반 다중 지식 전이 알고리즘(similarity-based multi-knowledge transfer, SMTRL)을 제안한다. SMTRL은 사전 학습된 모델과 현재 모델의 유사도를 계산하고, 그 유사도에 기반하여 지식 전이의 비율을 동적으로 조절하여 학습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법론이다. 복잡한 환경에서 자율이동체가 단독으로 학습할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지식 전이는 필수적이다. 하지만 사전 학습 모델과 실제 환경 간 차이가 클 경우, 학습 성능이 저하되는 부정 전이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SMTRL은 이러한 부정 전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유사도가 높은 사전 학습 모델의 지식을 반영 비율을 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안정적으로 학습 속도를 가속화한다. 실험 결과, 제안된 알고리즘은 기존의 단일 지식 전이 및 전통적 강화학습 방법과 비교하여 수렴 속도 및 성능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자율이동체의 효율적인 학습을 위한 새로운 지식 전이 방법을 제시하며, 복잡한 이동체 환경으로의 적용 가능성과 향후 연구 방향에 관해 논의한다.

구름(KULLM): 한국어 지시어에 특화된 거대 언어 모델

이승준, 장윤나, 김정욱, 이태민, 임희석

http://doi.org/10.5626/JOK.2024.51.9.817

Large Language Models (LLM)의 출현은 자연어 처리 분야의 연구 패러다임을 전환시켰다. LLM의 핵심적인 성능 향상은 지시어 튜닝(instruction-tuning)기법의 결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연구가 영어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어, 다양한 언어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어 지시어(instruction-following)모델의 개발 및 평가 방법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지시어 데이터 셋을 활용하여 LLM 모델을 튜닝하며, 다양한 데이터셋 조합의 효과에 대한 성능 분석을 수행한다. 최종 결과로 개발된 한국어 지시어 모델을 오픈소스로 제공하여 한국어 LLM 연구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Search




Journal of KIISE

  • ISSN : 2383-630X(Print)
  • ISSN : 2383-6296(Electronic)
  • KCI Accredited Journal

사무국

  • Tel. +82-2-588-9240
  • Fax. +82-2-521-1352
  • E-mail. chwoo@kiis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