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협대역 네트워크를 통한 실시간 영상 전송 시스템
노현민, 이승환, 최증원, 김동현, 김경우, 고윤수, 신상헌, 김형준, 송황준
http://doi.org/10.5626/JOK.2020.47.9.885
본 논문은 불안정한 협대역 네트워크에서 높은 품질의 영상을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협대역에서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기 위해 순방향 오류정정 코드인 랩터 코드를 적용하였다. 랩터 코드의 매개변수(소스 심볼 크기, 소스 심볼 수, 코드율)를 네트워크 상황 및 송/수신 버퍼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불안정한 협대역 네트워크에서도 높은 품질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실제 안드로이드 단말을 통해 실제 구현되었으며, 제안한 시스템은 불안정환 협대역 환경에서 높은 품질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이중 연결 기반의 트래픽 스티어링 시스템
박기석, 노현민, 하재준, 김형준, 신상헌, 김동현, 고종환, 최증원, 송황준
http://doi.org/10.5626/JOK.2019.46.6.577
본 논문에서는 매크로 셀의 트래픽 일부를 스몰 셀로 분산하여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비디오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디오 품질 기반 트래픽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매크로 기지국의 무선 자원을 비디오 품질 측면에서 Fairness 과 Social welfare 사이의 균형을 고려하여 할당한다. 사용자 데이터 흐름은 매크로 기지국과 스몰 셀 AP으로 나누어지고 사용자는 동시에 두 곳에서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안된 시스템에서 파운틴 코드는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 아키텍처의 실질적인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SDN 기술은 불안정한 네트워크 상태에 신속하게 대응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안된 자원 할당 프로세스는 시간 복잡도를 낮추도록 설계되었다. 제안된 시스템은 NS-3를 사용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HTTP 적응적 스트리밍을 위한 TCP 인지형 세그먼트 스케줄링 기법
HTTP 적응적 스트리밍은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비디오의 품질을 조절하여 사용자 체감 품질을 향상시키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이다.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비디오 콘텐츠는 여러 품질과 일정 길이를 가지는 비디오 세그먼트로 나누어지며, 클라이언트는 적절한 품질의 세그먼트를 요청한다. 그러나 기존의 세그먼트 스케줄러는 TCP에 대한 고려 없이 일정 간격으로 세그먼트를 요청하므로 TCP 연결이 초기화되어 Slow-start를 다시 수행해 비디오 전송률이 감소한다. 본 논문에서는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TCP 인지형 세그먼트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TCP 연결이 초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디오 세그먼트의 요청 시간을 조절하며, 세그먼트를 요청하는 시점을 고려하여 안정적인 비디오 스트리밍을 수행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끊김 현상 없이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중 네트워크 카메라 기반 실시간 파노라마 동영상 생성 시스템
파노라마 영상 생성관련 분야는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다. 기존의 방식들은 특수목적 하드웨어를 이용하거나, 후처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한다. 하지만 이 방식들은 비용적인 문제와 조작의 번거로움의 문제가 있다. 또한 영상 내 특징 점의 존재 유무에 따라 정합이 가능한 범위도 제한된다. 본 논문에서는 저비용의 조작이 용이한 실시간 파노라마 동영상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에서는 저비용의 범용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동영상 압축 스트리밍 방법을 통해 서버로 영상을 전송한 뒤 파노라마 영상을 정합한다. 구현된 시스템의 성능 분석을 통해 파노라마 영상의 생성 시간을 측정하였고 동영상이 생성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