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가이드라인
논문지 투고 규정
1974년 5월 1일 제정
(중간 개정 이력 생략)
30차 개정 : 2012년 12월 1일
31차 개정 : 2014년 7월1일
32차 개정 : 2022년 5월 27일
33차 개정 : 2024년 6월 27일
1. 투고 논문은 정보과학 및 그 응용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학술 및 산업발전에 기여하는 내용이거나 독창성이 인정되는 것이어야 하며, 국내외 타 학술지에 투고하여 심사 중이거나 게재되었던 논문은 투고할 수 없다. 또한, 투고자는 연구 및 출판윤리에 대한 기준(한국정보과학회 논문윤리 규정, 국제표준출판윤리)을 숙지하고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2. 논문지 편집위원회는 저자에게 투고 논문의 수정을 요구할 수 있다. 수정 요구후 일반논문 6주, 초청논문ㆍ단편논문은 3주, 2개월보장긴급논문은 2주가 지나도록 저자의 회신이 없으면 포기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3. 게재 논문의 내용에 대한 최종 책임은 저자가 진다.
4. 투고자는 논문의 성격 및 분야에 따라 해당되는 논문분야로 투고하여야 하며, 심사가 완료된 후에는 투고 논문분야가 포함된 논문지로 게재된다. 논문의 성격이나 분야가 부적합한 경우, 편집위원회에서 투고 논문분야를 변경할 수 있다.
논문분야 |
. 시스템 및 이론 : 하드웨어, OS, 그래픽스, 병렬처리, 컴퓨터 이론 분야 |
5. (1) 논문은 본회 홈페이지를 통하여 투고하여야 한다.
(2) 논문 접수는 수시로 하며 접수일은 논문이 본회 사무국에서 확인된 날로 한다.
6. 심사용 논문은 pdf 형태로 제출하되 다른 형태의 파일인 경우는 1회 변환시 변환료 10,000원이 부과된다. 게재용 논문은 워드프로세서 “아래한글”, “MS워드”를 사용하여 작성한 화일을 제출한다.
7. (1) 논문의 구성은 국문 제목, 영문 제목, 국문 요약, 국문 키워드, 영문 요약, 영문 키워드, 본문, 참고문헌, 부록 순으로 작성하며, 저자에 관한 사항은 일체 표기하지 않는다.
(2) 국문 요약은 300~500의 글자 수로, 영문 요약은 100~200의 단어 수로 작성한다. 또한 국문, 영문 키워드는 4~6개로 작성한다.
(3) 단편논문은 출판 논문지의 편집형식을 기준으로 게재면수 5면 이내로 작성하여야 한다.
(4) 심사용 논문에는 감사의 글을 기재하지 않는다.
8. 논문 내용에 직접 관련이 있는 문헌에 대해서는 관련이 있는 본문 중에 참고문헌 번호를 쓰고 그 문헌을 참고문헌란에 인용 순서대로 기술한다. 참고문헌은 영문으로만 표기하며 학술지의 경우에는 저자, 제목, 학술지명, 권, 호, 쪽수, 발행년도의 순으로, 단행본은 저자, 도서명, 발행소, 발행년도의 순으로 기술한다.
<단행본>
[1] R. Bellman, Introduction to Matrix Analysis, 2nd Ed., pp. 234, McGraw-Hill, New York, 1979.
<논문지>
[1] K. Park, H. Hwang, C. Lee, and S. Min, “Analysis of Delay-Bandwidth Normalization Characteristic in Decay Usage Algorithm of UNIX,” Journal of KIISE : Computer Systems and Theory, Vol. 34, No. 10, pp. 511-520, Oct. 2007. (in Korean)
[2] D. Kim, H. Kim, and J. Seo, “A Statistical Prediction Model of Speakers' Intentions in a Goal-Oriented Dialogue,” Journal of KIISE : Software and Applications, Vol. 35, No. 9, pp. 554-561, Oct. 2008. (in Korean)
[3] D. O. Seong, M. H. Yeo, and J. S. Yoo, “An Energy Efficient Continuous Skyline Query Processing Method in Wireless Sensor Networks,” Journal of KIISE :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Vol. 15, No. 4, pp. 275-279, Apr. 2009. (in Korean)
[4] J. Kim, I. Song, and M.-H. Kim, “An Efficient Keyword Search Method on RDF Data,” Journal of KIISE : Databases, Vol. 35, No. 6, pp. 495-504, Dec. 2008. (in Korean)
[5] J. Choe and D. Yoo, “A Mechanism for Handling Selfish Nodes using Credit in Sensor Networks,”Journal of KIISE : Information Networking, Vol. 35, No. 2, pp. 120-129, Oct. 2008. (in Korean)
[6] T.-Q. Nguyen, J.-S. Heo, J.-H. Lee, Y.-R. Kim, and K.-Y. Whang, "Query Expansion Using Augmented Terms in an Extended Boolean Model,"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 No. 1, pp. 26-43, Mar. 2008.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1] S. Yu, S. J. Kim, "A Design of a Context-Aware Fault Recovery System for Smart Homes," Proc. of the KIISE Korea Computer Congress 2008, pp. 354-358, 2008. (in Korean)
[2] K. J. Kang, S. J. Kim, “A Design of Probability-based Knowledge Model for Environment Control Services on Smart Homes,” Proc. of the 35th KIISE Fall Conference, pp. 291-358, 2008. (in Korean)
<Web Site>
[1] J. Jones. (1991, May 10). Networks (2nd ed.) [Online]. Available: http://www.atm.com (downloaded 2012, Sep. 10)
9. 장 및 절에 해당되는 번호는 아라비아 숫자로 각각 1., 1.1 등과 같이 표기한다.
10. 그림, 표는 인쇄될 크기의 두 배 정도로 선명하게 작성하여 본문 중에 위치를 정하고, 그림의 명칭은 하단 중앙에, 표의 경우는 상단 중앙에 각각 그림 1(Fig. 1) 및 표 1(Table 1)로 표기한다. 본문에 삽입되는 그림 및 표의 내용은 모두 영문으로 작성하고, 그림과 표의 제목은 한글과 영어로 모두 표기한다.
11. 채택된 투고자는 약력을 서술식으로 200자 이내로 작성하여 반명함판 사진 화일과 함께 제출하여야 한다.
12. 투고자는 2개월보장긴급논문 1편당 심사료 500,000원을, 그 외의 논문은 1편당 심사료 50,000원을 논문 투고시 납부해야 하며, 2개월보장긴급논문의 경우 2개월내에 심사가 완료되지 않으면 심사료를 환불한다 (단, 저자가 지연하는 경우는 제외함). 채택된 논문의 투고자는 인쇄 쪽수에 따라 다음의 게재료를 부담한다.
인쇄 페이지수 | 1 - 6쪽 | 7 - 8쪽 | 9쪽 이상 |
---|---|---|---|
논문게재료 | 15,000원 / 쪽 | 30,000원 / 쪽 | 50,000원 / 쪽 |
단편논문게재료 | 100,000원 / 편 |
단, 게재시 저자 중에 비회원이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게재료의 50%를 추가 부담하고, 연구비 지원 문구 포함시에는 100,000원을 추가 부담하며, 연구비 지원 문구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게재료의 20%를 할인한다.
13. 채택된 논문 중 특별한 사정으로 게재 시기 조정을 원하는 경우에는 논문지 편집위원회의 승인을 얻어 게재할 수 있다. 단, 저자는 게재 시기 조정에 따른 경비 300,000원을 추가로 부담하여야 한다.
14. 논문지에 게재된 논문은 본 학회의 승인없이 무단 복제할 수 없다.
15. 논문지에 게재된 논문은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하며, 게재되는 논문의 저자는 논문 저작권 위임서를 제출한다.
16. 본 규정은 2024년 6월 27일부터 효력을 발생한다.
저자 체크리스트
항목 |
내용 |
YES |
NO |
일반 사항 |
제출 가이드라인을 이해하였는가? |
|
|
출판 윤리를 준수하였는가? |
|
|
|
초록 |
초록이 한국어로는 300~500자, 영어로는 100~200 단어로 작성되었는가? |
|
|
문법적인 오류에 대한 정정을 진행했는가? |
|
|
|
본문 |
원고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배치되는가: 국문 제목, 영문 제목, 국문 초록, 국문 키워드, 영문 초록, 영문 키워드, 본문, 참고문헌, 부록 |
|
|
표와 그림은 영문으로만 표시되고 캡션은 한글과 영문으로 모두 표시되는가? |
|
|
|
감사 표시를 포함한 저자 식별 정보가 논문에서 제거되었는가? |
|
|
|
괄호 안의 텍스트 인용과 참고 문헌 목록의 참고 문헌이 모두 순서대로 정렬되어 있는가? |
|
|
|
참고문헌 |
참고 문헌은 모두 개별적으로 번호가 매겨져 있으며 참고 문헌당 하나의 인용만 있고 텍스트와 참고 문헌 목록 모두에 순서대로 표시되었는가? |
|
|
참고문헌이 영어로 명시되었는가? |
|
|
|
참고문헌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올바른 학술지 형식을 준수해야 한다. 학술지 논문: 저자, 제목, 출판물 제목, 출판 번호, 전체 페이지 범위, 출판 연도. 도서: 저자, 제목, 출판사, 출판 연도. |
|
|
|
참조 및 참조 목록이 순서대로 정렬되어 있는가? |
|
|
|
제출 |
교신저자의 이메일 주소와 전화번호를 정확하게 입력해야 한다. |
|
|
저자 이름은 순서대로 나열되어야 한다. |
|
|
|
온라인 제출 시스템에서 저자의 이름, 이메일, 소속 등 모든 필수 정보를 올바르게 제공해야 한다. |
|
|
|
원고는 반드시 PDF 파일로 제출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Adobe PDF로 변환하는 데 10,000원의 비용이 부과된다. |
|
|
|
논문심사료는 적절하게 납부되어야 한다. |
|
|
저자 표시
저자는 1) 개념 및 설계, 데이터 수집, 데이터 분석 및 해석에 상당한 기여, 2) 논문의 초안을 작성하거나 중요한 지적 내용에 대해 비판적으로 수정, 3) 출판될 버전의 최종 승인에 근거하여 인정받아야 한다. 저자는 이 세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동료 심사 절차
모든 원고는 기밀로 취급된다. 편집위원이 선정한 최소 세 명의 익명의 심사자가 원고를 검토한다.
심사 과정은 이중 맹검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교신저자에게는 가능한 한 빨리 편집위원의 원고 수락, 거절 또는 수정 요청 결정이 통보된다.
최종 수정된 원고가 학술지 형식 및 기준에 따라 완전히 수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다음 발행 호에 게재되도록 일정을 확정한다. 거부된 논문은 다시 동료 심사를 받지 않는다.
논문 심사 기준
- 이 원고가 연구 분야를 어떻게 발전시키거나 저작물에 새로운 것을 기여하는가?
- 이 원고가 ‘정보과학회논문지’의 독자층에 적절한가?
- 원고가 기술적으로 완전한가?
- 논문이 명확하게 작성되고 잘 구성되어 있는가?
- 모든 그림과 표가 적절하게 제공되었으며 해상도가 좋은가?
- 서론에 논문의 목적이 명시되어 있어 독자가 계속 읽도록 유도하는가?
- 참고문헌이 관련성이 있고 완전한가? 심사위원은 누락된 참고 문헌을 제공해야 한다.
불만 및 이의 제기 지침
심사위원의 심사 의견, 수정 요청 및 재심 사유에 대해 반대 또는 다른 관점이나 의견을 표명하고자 하는 저자는 1회에 한해 편집위원회에 서면 이의 신청서(편지 또는 이메일)를 충분한 논거 또는 실증적 사례와 함께 제출할 수 있다. 편집위원회와 편집위원장이 이의 제기가 타당하다고 판단하면 편집위원회에서 최종 결정을 내린다. 저자는 편집위원회의 최종 결정에 다시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
저작권
출판을 통해 저자는 불특정 다수의 일반 대중이 액세스할 수 있는 전자 데이터베이스에 자신의 논문을 저장하는 데 동의한다. 게재가 승인된 논문의 저자는 논문 저작권 위임서를 제출해야 한다. 논문의 저작권은 논문 저작권 위임서를 KIISE에 제출하는 시점에 KIISE로 이전된다.
데이터 공유 및 재현성
한국정보과학회는 저자가 원고를 작성할 때 데이터 공유 방법을 포함하도록 권장하여 오픈 사이언스를 장려한다. 저자는 가능하면 데이터, 코드 및 자료를 평판이 좋은 저장소에 보관할 것이 권장된다. 독점적이거나 민감한 데이터의 경우, 저자는 접근 제한을 설명하고 자격을 갖춘 연구자가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는 절차를 제공할 수 있다. 원고는 재현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방법론적 세부 사항을 포함해야 한다. 투명성과 데이터 공유를 촉진함으로써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고, 과학적 진보를 가속화하며, 출판된 연구의 영향력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