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사위원 가이드라인
높은 수준의 심사 절차는 정보과학회논문지 (Journal of KIISE, JOK)의 성공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이다. 심사위원은 제출된 원고가 JOK의 출판 기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하고 저자가 논문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건설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책임이 있다. 심사 과정에서 심사위원은 기밀을 유지하고 편견 없이 객관적으로 논문을 평가해야 한다. 모든 심사는 제출된 원고에 대한 완전한 접근 권한을 제공하는 JOK 심사 시스템을 통해 진행된다. 심사위원은 심사를 적시에 완료하는 등 윤리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심사위원은 논문의 장점을 평가하고 KIISE의 기술 출판 표준에 따라 권고 사항을 제시한다.
심사위원 의무사항
기밀 유지: 검토를 위해 접수된 모든 원고는 기밀 문서로 취급해야 한다. 편집위원이 승인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거나 다른 사람과 논의해서는 안 된다.
시기 적절한 심사 진행 및 편집위원 결정 지원: 심사위원은 신속하게 검토를 수행하고 원고를 비판적으로 평가하여 편집위원의 논문 심사 결과의 결정을 도와야 한다.
공개 및 이해 상충: 심사위원은 논문과 관련된 저자, 회사 또는 기관과 경쟁적, 협력적 또는 기타 관계 또는 연결로 인해 이해 상충이 있는 원고를 심사하지 않아야 한다.
객관적인 판단: 심사는 저자가 원고를 개선하는 데 사용할 수 있도록 명확한 근거를 바탕으로 제시된 관찰결과를 활용하여 객관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출처 인정: 심사위원은 저자가 인용하지 않은 관련 출판물을 파악해야 한다. 관찰, 도출 또는 주장이 이전에 보고된 적이 있다는 문장은 반드시 관련 인용문을 첨부해야 한다.
일반 가이드라인
JOK는 3명의 전문가 심사위원이 저자의 신원을 알지 못한 채 각 원고를 평가하는 이중 맹검 동료 심사 절차를 채택하고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저자는 익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원고를 준비해야 한다. 전문성을 바탕으로 편집위원이 선정한 심사위원은 제출된 원고의 과학적 품질을 평가한다.
심사위원은 원고의 JOK 적합성, 연구 품질 및 결과, 방법론, 실험 절차 및 분석 등 여러 측면에 대한 점수와 상세한 의견을 제공한다. 또한 제안된 가설의 중요성과 건전성, 그리고 재현 가능성도 평가한다.
이러한 평가를 바탕으로 심사위원은 다음 네 가지 결과 중 하나를 추천한다:
- 그대로 게재
- 수정 후 게재
- 수정 후 재심사
- 게재 곤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