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 author: 김명진 ] (3)

고유명사 기호화를 통한 신경망기반 한영 번역

김명진, 남준영, 정희석, 최희열

http://doi.org/10.5626/JOK.2021.48.10.1084

신경 기계 번역 분야는 딥러닝의 발전과 함께 성능이 발전하고 있지만, 이름, 신조어, 특정 그룹 내에서만 통용되는 단어 등과 같이 고유명사들이 들어간 문장의 번역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들이 있다. 본 논문은 고유명사가 들어간 문장의 번역 성능 개선을 위해 최근 제안된 번역 모델인 Transformer Model에 추가적으로 한영 고유명사 사전과 고유명사 기호화 방식을 사용한다. 제안된 방식은 학습에 사용되는 문장의 단어들 중 일부를 고유명사 사전을 이용하여 기호화하고, 기호화된 단어들을 포함한 문장들로 번역 모델을 학습시킨다. 새로운 문장 번역시에도 고유명사 사전을 이용하여 기호화하고 번역후 복호화 하는 방식으로 번역을 완성한다. 제안된 방식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고유명사 기호화를 사용하지 않은 모델과 함께 비교 실험하였고, BLEU 점수를 통해 수치적으로 개선되는 경우들도 확인했으며, 몇가지 번역 사례들도 상용서비스 결과들과 함께 제시했다.

최대 수요 전력 저감을 위한 LSTM 기반 ESS 운영 스케줄링 기법

서영웅, 박승영, 김명진, 임성빈

http://doi.org/10.5626/JOK.2019.46.11.1165

최근 우리나라의 최대 수요 전력 부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정전 확률이 올라가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energy storage system (ESS)에 저장한 전력을 활용하여 최대 수요 전력을 저감하는 ESS 운영 스케줄링 기법이 연구되고 있다. 수요 전력 정보를 미리 알고 있다면, ESS에 저장된 전력과 앞으로 발생할 수요 전력을 모두 고려하여 최적의 ESS 운영 스케줄링 기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최대 수요 전력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구간에서만 발생하며 발생 시간도 일정하지 않아 예측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미래의 수요 전력 정보를 미리 알고 있어야만 구현 가능한 최적의 ESS 운영 스케줄링기법은 실질적으로 적용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과거에 측정된 수요 전력 정보만을 이용하는 ESS 운영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과거에 측정된 수요 전력과 이에 대응되는 ESS의 최적 방전 전력을 입 · 출력 데이터로 활용하여 long short-term memory (LSTM) 신경망을 훈련하고 이를 ESS 운영스케줄링에 적용하였다. 제안 기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4곳의 전력 수용가들에 대한 수요 전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안 기법은 정확한 전력 수요 정보를 미리 알고 있어야만 구현 가능한 최적 운영스케줄링 기법 대비 최대 약 82.42%까지 연간 최대 수요 전력 감소를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onvolutional Neural Network를 이용한 웹 어플리케이션 공격 탐지 기법

서영웅, 김명진, 박승영, 이석우

http://doi.org/10.5626/JOK.2018.45.7.744

웹 어플리케이션 공격이 급격하게 늘면서 기존의 기법들만으로는 이를 탐지하는 것이 한계가 있어, 기계학습 기반의 탐지 기법이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기계학습을 활용한 기존 기법은 공격 탐지를 위해 적절한 특징(feature)을 선정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새로운 공격 패턴이 등장할 경우 이에 적합하도록 특징을 재선정해야 할 경우도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HTTP 트래픽을 구성하는 입력이 허용되는 문자에 대한 제한 없이 문자 단위로 16진수 변환한 후 이미지화하고, 이를 입력으로 하는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통해 웹 어플리케이션 공격을 탐지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별도의 특징 선정 없이 지도학습을 통해 이미지화 된 HTTP 트래픽을 학습하며, 기존의 기계학습 기법보다 최대 84.4%까지 공격 탐지 오류율 성능을 향상할 수 있음을 보였다.


Search




Journal of KIISE

  • ISSN : 2383-630X(Print)
  • ISSN : 2383-6296(Electronic)
  • KCI Accredited Journal

사무국

  • Tel. +82-2-588-9240
  • Fax. +82-2-521-1352
  • E-mail. chwoo@kiis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