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교통 혼잡 원인과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시각적 분석 기술
http://doi.org/10.5626/JOK.2020.47.2.195
본 논문에서는 교통 흐름 이론을 기반으로 교통 혼잡의 원인을 분석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우리는 GPS 궤적 및 차량 감지기 데이터(VD)와 같은 교통 데이터에서 차량의 흐름을 추출한다. 또한 우리는 교통 데이터에 정보이론의 엔트로피를 사용하여 차량의 흐름 변화를 식별한다. 그런 다음 혼잡 지역의 차량 흐름을 정량화할 수 있는 누적 차량 수 커브(N-curve)를 추출한다. 교통 흐름 이론에 따르면 혼잡유형에 따라 고유한 N-curve 패턴을 관찰할 수 있다. 우리는 N-curve를 네 가지의 혼잡 패턴으로 분류할 수 있는 합성곱 신경망을 설계한다. 교통 혼잡의 원인과 영향을 분석하는 것은 어렵고 상당한 경험과 지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논문에서는 교통 혼잡의 원인과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각적 분석 시스템을 제시한다. 논문에서는 두 가지의 사례 연구를 통해 교통 혼잡의 원인을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평가한다.
중력 모델을 이용한 시공간 데이터의 시각화
시공간 데이터는 위도와 경도를 비롯한 위치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일컫는 말로 지리학적 시각화의 연구로 시공간 데이터를 분석하고 표현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 기술은 특정 공간에 시간을 두고 연속적 또는 이산적으로 발생하는 데이터로부터 패턴을 찾고 이를 분석하는 데 목표가 있다. 하지만,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가 없는 이산적인 시공간 데이터에서 데이터의 흐름을 시각화하는 것은 쉽지만은 않은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커널밀도추정과 중력모델을 이용하여 이산적인 시공간 데이터로부터 벡터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시공간 데이터에서 움직임과 경향을 분석할 수 있도록 시각화 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트위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산적인 시공간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Seasonal-Trend Decomposition과 시계열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비정상 이벤트 탐지 시각적 분석 시스템
본 논문에서는 시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트윗 스트림에서 비정상적인 이벤트에 대한 상관관계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으로는 트윗에서 토픽 모델링을 수행한 다음 계절요인과 추세요인을 반영한 시계열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비정상적인 이벤트 후보군을 추출한다. 추출된 토픽이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를 대상으로 다시 한 번 토픽을 추출하여 시계열 분석을 수행한 다음 앞서 추출한 토픽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비정상적인 이벤트를 탐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비정상 이벤트를 탐지하는 모든 과정에 시각적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단순한 수치 정보가 아닌 시각적 패턴 형태로 나타냄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비정상 이벤트의 동향과 주기적인 패턴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은 2014년 1월 1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트윗을 대상으로 2개의 사건[경주 마우나 리조트 붕괴 사건(2014.02.17.), 진도 여객선 침몰 사건(2014.04.16.)]에 대해 시각적 분석 시스템을 적용하여 사용자는 쉽게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음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