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OSDEF: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개발 실습을 위한 통합 프레임워크
http://doi.org/10.5626/JOK.2019.46.8.774
소프트웨어는 개발 프로세스에 따라 개발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개발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공학 교육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개발 교육에서는 객체지향적 특성 확인을 위해 여러 예제들을 통해 교육과 실습이 진행된다. 하지만 프로그램의 규모에 따라 객체의 확인은 적합하지만 구현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거나 소프트웨어 디자인과 구현의 관계를 파악하기에 어려운 점들이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을 지원하고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개발 교육의 효과적인 실습을 위해 OSDEF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이는 기존에 제안한 객체지향 방법론 기반의 소프트웨어공학 교육용 프로세스 OOPT를 바탕으로 하여 산출물 작성 및 관리와 추적성 분석 도구를 포함한다. 또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층 구조를 효과적으로 실습하고, 실행해 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개발 프로세스에 따라 디자인 및 실행에 대한 실습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OPT: 소프트웨어공학 교육을 위한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Software Development Process: SDP)는 소프트웨어공학 교육에서 가장 기초적이며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모든 소프트웨어는 개발의 시작부터 마지막까지를 모두 포함하는 특정 SDP에 기반해서 개발된다. 따라서, SDP 교육은 소프트웨어공학의 제반 기술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 본 논문은 대학의 소프트웨어공학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프로세스)인 OOPT(Object Oriented Process with Traceability)를 소개한다. OOPT는 객체지향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각 단계마다 구체적인 요구사항과 산출물을 정의하고 있으며, 단위/시스템 시험 및 추적성 분석 등의 추가적인 내용들도 포함하고 있다. 본 논문은 OOPT에 대한 적용 사례로서 다년간의 건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소프트웨어공학 관련 수업들을 소개하고 있으며, 향후 개선 및 발전 방향을 포함한다.
적응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 도출 및 명세 기법
사용자 및 기기의 상황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실시간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적응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Adaptive User Interface)’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기존 관련 연구들은 주로 설계방법론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요구공학 방법론에 대해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적응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요구공학 관점에서 조명하고, 자가 적응 시스템 분야에서 연구되어 온 개념들에 기초한 요구사항 도출 및 명세 방법을 제안한다. 잘 알려진 자가 적응 소프트웨어 개념들을 재정의 및 해석한 후, 적응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구사항을 도출 및 명세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보인다. 사례연구에서는 제안하는 방법에 따라 적응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구사항을 도출 및 명세하여 본 기법이 효과적임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