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모바일 단말에서 유해 동영상을 차단하기 위한 단말 상태 기반의 적응적 프레임 추출 및 스트리밍 제어 시스템
http://doi.org/10.5626/JOK.2022.49.7.575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접근성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서 유해 동영상을 차단하기 위한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은 낮은 처리 능력으로 인해 유해 동영상 차단 과정에서 부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단말에서 유해 동영상을 차단하기 위한 단말 상태 기반의 적응적 프레임 추출 및 스트리밍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프레임 간의 유사도 비교 결과와 동영상의 유해성 변화를 기반으로 프레임을 추출한다. 또한, 단말 상태에 따라 유사도 비교와 프레임 추출을 제어하고 모자이크 처리를 통해 유해 동영상의 노출을 최소화한다. 구현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시스템이 적응적 프레임 추출 기술을 통해 유해성 변화에 대한 대응 성능을 약 40%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단말의 배터리 상황에 따라 프레임을 적응적으로 추출하여 유해 동영상을 차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모바일 단말에서 유해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차단하기 위한 스트리밍 제어 시스템
http://doi.org/10.5626/JOK.2021.48.8.966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접근성이 증가하면서 모바일 단말에서 유해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차단하기 위한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은 낮은 처리 능력으로 인해 차단과정에서 부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단말에서 유해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차단하기 위한 스트리밍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동영상의 프레임을 추출하여 유해성 분석엔진을 통해 동영상의 유해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유해성 변화와 프레임 간 유사도 비교 결과를 고려하여 프레임 추출 방식을 결정함으로써 부하를 최소화하고 동영상 모자이크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유해 동영상을 차단한다. 구현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시스템이 모바일 단말에서 발생하는 부하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유해 부분을 최소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FT-LCD를 위한 인간 시각 만족의 저전력 히스토그램 명세화 기법 및 자동화 연구
휴대용 기기에서 사용 비중이 높은 디스플레이인 TFT-LCD에서는 백라이트가 소모 전력의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백라이트의 세기를 줄이는 디밍 기법을 통한 전력 절감이 많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때 일어나는 디스플레이 상 이미지의 밝기 저하로 인한 시각적 왜곡을 개선하는 이미지 보상 기법 연구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히스토그램 평활화와 같은 기존 이미지 보상 기법들은 인간 시각 만족도를 잘 충족하는 것에 한계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히스토그램 명세화와 픽셀 보정의 결합을 통해 전력 절감과 함께 시각 만족도 개선 효과가 향상된 디밍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인간 시각을 만족하기 위해 탐색 알고리즘을 수행하므로, 빠른 이미지 처리를 위해 단순화한 계산을 통해 인간 시각 만족의 이미지를 얻어낼 수 있는 자동화 알고리즘을 포함한다. 실험 결과, 기존 백라이트 디밍에 비해 전력 절감 대비 높은 시각 만족도 개선을 보였다.
실내/실외 컨텍스트 전이를 고려한 저전력 센싱 모델
다양한 센서가 부착된 스마트 폰의 보급으로 상황인지 어플리케이션 시장의 규모가 발달하고 있다. 하지만, 한정된 전력으로 인해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받기는 어렵다. 상황인지 어플리케이션 관점에서 볼 때, 컨텍스트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센싱 정보가 다르기 때문에, 컨텍스트의 전이가 발생하면 필요한 센서들의 변화로 인해 센서 모듈들을 끄고 켜는 과정에서의 전력 소비가 크며, 정확한 센싱이 되지 않는 상황에서 과도한 센싱을 시도하게된다. 본 논문에서는 실내/실외 컨텍스트 전이에서 발생하는 전력 소모에 초점을 두고 해당 컨텍스트와 연관된 센서 활동을 모델링 한 뒤, 컨텍스트 전이가 일어나는 시점을 감지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freezing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시중의 실내/실외 위치추적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컨텍스트 전이가 발생하는 지점에서, 제안하는 기법의 유무에 따른 소비전력 차이를 실측하였으며, 시중의 어플리케이션의 실제 구동 중 컨텍스트 전이과정에서의 전력 절감이 있었으며, 전체 시나리오에서 약 20%의 전력 절감 효과를 얻었다.
스마트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위치기반 고속도로 안전시스템
본 논문에서는 대부분 운전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와 최소한의 중앙서버를 활용하여 구축 가능한 위치기반 고속도로 안전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중앙서버를 구축하여 GPS를 이용한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며, 서버에서는 차량위치 업데이트 메시지 감소를 위한 위치예측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차량에 장착된 모바일에서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험 상황을 인지하여 상황을 서버에게 업데이트하고, 서버는 LTE 통신을 이용한 위치기반 유니캐스트를 통하여 주변 위험차량에게 신속하게 알려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위치예측 알고리즘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제 차량에 앱을 탑재한 모바일 기기를 설치하고 도심도로, 한적한 도로, 고속화도로 등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실제 실험하고, 위험도전파 등을 평가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또한 차량의 충돌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충돌 모의실험을 진행하며, 모바일 기기가 거치대에서 이탈되는 등의 예외적인 상황을 처리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리눅스 기반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자 응답성 향상을 위한 프레임워크 지원 선별적 페이지 보호 기법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모바일 기기 응용들을 사용하면서 빠른 응답성을 제공받기를 바란다. 하지만 모바일 기기 응용들은 종종 사용자가 기대하는 수준의 응답성을 제공하지 못한다. 응답성을 저해하는 주 원인들 중 하나는 과도한 페이지 폴트 발생에 따른 대화형 태스크 수행의 지연이다. 이는 대화형 태스크의 상주 페이지(resident page)들이 비대화형 태스크와의 페이지 캐시 경쟁에 의해 더욱 빈번히 희생될 페이지(victim page)으로 선정되어 스토리지로 쫓겨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레임워크 지원 선별적 페이지 보호 기법을 제시한다. 제안한 기법은 프레임워크 레벨에서 대화형 태스크를 식별하고 이를 커널에 전달하여 페이지 replacement 시에 대화형 태스크의 페이지를 보호하고, 사용자 입력 처리 중에 발생하는 페이지 폴트를 줄인다. 실험 결과 제안된 기법은 기존 시스템에 비해 페이지 폴트 횟수를 37% 감소시켰고, 응답시간을 11% 단축할 수 있었다.
사용자 맞춤형 분석 기반의 Hybrid 메시지 전송 기법
2009년을 기점으로, 스마트 기기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보급된 스마트기기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 중, 클라우드 메시징 서비스는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클라우드 메시징 서비스는 비동기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클라우드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는 방식으로는 IP 기반 메시지 전송 기법과 Publish/Subscribe 기법이 있다. 각각의 기법은 메시지 전송을 위해 기본적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메시지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적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메시지 량을 줄이기 위해, 사용자 맞춤형 기반 Hybrid 메시지 전송 기법을 제안한다. Hybrid 메시지 전송 기법에서는 Exponential Moving Average (EMA)와 K-means 알고리즘을 이용해 사용자 맞춤형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이용해 각 시간대 별로 메시지 전송 기법을 결정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