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 keyword: Privacy ] (27)

프라이버시 보호 데이터 배포를 위한 모델 조사

김종선, 정기정, 이혁기, 김수형, 김종욱, 정연돈

http://doi.org/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들이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의 공유나 배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공유된 데이터에 개인과 관련된 민감한 정보가 있을 경우, 개인의 민감한 정보가 드러나는 프라이버시 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 개인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배포하기 위해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데이터를 최소한으로 변형하는 프라이버시 보호 데이터 배포(privacy-preserving data publishing, PPDP)가 연구되어 왔다. 프라이버시 보호 데이터 배포 연구는 다양한 공격자 모델을 가정하고 이러한 공격자의 프라이버시 유출 공격으로부터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한 원칙인 프라이버시 모델에 따라 발전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프라이버시 유출 공격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프라이버시 모델들을 프라이버시 유출 공격에 따라 분류하고 각 프라이버시 모델들 간의 차이점과 요구 조건에 대해 알아본다.

안전한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위한 프라이버시 보장 자체 인증 공공 감사

백목련, 김동민, 정익래

http://doi.org/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데이터를 원격으로 위탁 및 공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기존에 클라우드에 존재하는 보안상 위협과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본인의 데이터를 소유하고 있지 않는다는 사실로 인해,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무결성 검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클라우드 스토리지 환경에서 공공 무결성 검증 기법을 제안하는 많은 연구들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안된 대부분의 클라우드 공공 무결성 검증 기법의 경우 검증 단계에서 과도한 연산량이 발생하거나 안전성을 보장받지 못했다. 본 논문에서는 J. Zhang등이 제안한 자체 인증 기반 무결성 검증 기법이 두 가지 공격에 취약함을 보인 후, 이 두 가지 공격에 안전하면서도 동일한 연산 효율성을 보장하는 새로운 자체인증 기반 클라우드 무결성 검증 기법을 제안한다. 뿐만 아니라, 제안하는 기법이 세 가지 안전성 모델에서 안전함을 증명한다.

주성분 분석의 안전한 다자간 계산

김상필, 이상훈, 길명선, 문양세, 원희선

http://doi.org/

최근 대용량 데이터 대상의 프라이버시 보호 데이터 마이닝(privacy-preserving data mining : PPDM)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민감한 데이터 집합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주성분 분석 기반의 PPDM을 다룬다. 일반적으로 주성분 분석은 모든 데이터를 한 곳에 모아 처리해야 하므로 민감한 데이터가 서로에게 공개되고, 상당한 계산량을 요구하며, 또한 데이터를 모으는 과정에서 많은 통신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데이터를 한 곳에 모으지 않고도 주성분 분석을 안전하게 계산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노드들 간에 한정된 정보만을 공유하면서도 원래의 주성분 분석 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안전한 주성분 분석에 저차원 변환을 적용하여 안전한 유사 문서 검색에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이 대용량의 다차원 데이터에서 효율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한다.

아웃소싱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프라이버시 및 질의 무결성을 지원하는 공간 변환 기법

김형일, 송영호, 장재우

http://doi.org/

위치 기반 서비스의 발전으로 인해, 일상에서 생성되는 공간 데이터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소유자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 비용 절감을 위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아웃소싱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 아웃소싱 시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은 프라이버시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질의 결과 무결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 변환 기법은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와 질의 결과 무결성을 동시에 보장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층밀림 변환, 회전 변환, 시프팅 변환을 활용한 공간 데이터 변환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변환기법의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공격 모델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성능 분석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 기법에 비해 다양한 공격 모델로부터 높은 수준의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를 수행하며, 동시에 질의 결과 무결성을 보장함을 검증한다.

이종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친구계정의 이름을 이용한 사용자 식별 기법

김동규, 박석

http://doi.org/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online social network service)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증가와 더불어 Twitter, LinkedIn, Tumblr 등 다양한 주제의 SNS들이 등장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SNS에 자신의 정보를 자발적으로 제공하고 서비스를 사용하나, 대용량 데이터 처리 기술의 발전과 프라이버시에 대한 인식이 고취됨에 따라 SNS 이용에 따른 프라이버시 침해가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계 학습에 기반을 둔 SNS 상의 프라이버시 보호 기법들이 연구되어왔으며, 지금도 활발히 연구가 진행중이나 새로운 SNS의 등장에 따른 프라이버시 침해 사례들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SNS에서 써드 파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혹은 서비스 제공자가 악의를 가지고 SNS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프라이버시 유출을 사전 탐지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상관계수의 안전한 다자간 계산

홍선경, 김상필, 임효상, 문양세

http://doi.org/

본 논문에서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데이터 제공자들이 각자 소유한 데이터의 프라이버시는 보호하면서도 피어슨(Pearson) 상관계수와 스피어만(Spearman)의 순위상관계수를 안전하게 계산하는 해결책을 각각 제안한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마이닝(또는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원본 데이터를 상대방에게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원본 데이터는 민감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고, 이때 데이터 제공자(소유자)는 프라이버시 보호를 이유로 정확한 값을 직접 노출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 컴퓨팅 환경의 데이터 제공자들이 각자 소유한 데이터는 상대방에게 공개하지 않으면서 상관관계를 계산하는 문제, 즉 안전한 상관관계 계산(SCC: Secure Correlation Computation) 문제를 정형적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임의 행렬 기반 안전한 스칼라 곱을 사용하여 피어슨 상관계수와 순위상관계수에 대한 SCC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각각 제안한다. 제안한 해결책이 바르게 수행함을 보이기 위해, 정확성과 안전성을 정리로 제시하고 증명한다. 또한, 실험을 통해 제안한 기법이 수행 시간 측면에서도 실용적인 방법임을 보인다.

LTE에서 사용자 위치 정보 보호를 위한 보안 향상 인증 프로토콜

한창희, 권현수, 허준범

http://doi.org/

최근 네트워크 및 통신 기술의 발달로 4세대 무선이동통신은 사용자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통신 데이터 및 프라이버시에 대한 외부 공격 또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안전한 통신에 대한 고려는 성공적인 4세대 이동통신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4세대 LTE 이동통신 환경에서 통신 기기의 위치 정보를 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공격모델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된 LTE 프로토콜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연산량이 적은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함으로써 위치정보에 대한 구별가능성을 제거함으로써 프로토콜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위치 프라이버시 보호 측면에서 제안기법의 안전성은 ProVerif 툴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Search




Journal of KIISE

  • ISSN : 2383-630X(Print)
  • ISSN : 2383-6296(Electronic)
  • KCI Accredited Journal

사무국

  • Tel. +82-2-588-9240
  • Fax. +82-2-521-1352
  • E-mail. chwoo@kiis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