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한국어 어휘의미망(UWordMap)을 이용한 동형이의어 분별 개선
한국어처리 분야에서 동형이의어 분별은 의미처리를 위해서는 매우 중요하고 오랫동안 연구되어온 주제이다. 최근에 말뭉치를 학습하는 기계학습 방법이 정확률과 속도면에서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미학습 어절을 처리하기 위해 어휘의미망을 이용한 지식기반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말뭉치를 학습한 기계학습 방법에 어휘의미망과 함께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의 기본 전략은 하위범주화 정보를 말뭉치화하여서 기존 말뭉치와 함께 학습시키고, 동형이의어 태깅 시점에서 분석 대상 명사의 상위어를 찾아서 학습정보와 같이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세종말뭉치와 UWordMap으로 실험을 하였으며, 정확률이 96.51%에서 96.52%로 미미하지만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말뭉치와 형태소 분석기를 활용한 한국어 자동 띄어쓰기
본 논문에서는 띄어쓰기가 전혀 되어 있지 않은 문자열을 입력 받아 말뭉치에서 추출한 어절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띄어쓰기를 해 주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형태소 분석기도 사용되나 오류 수정이라는 제한적인 용도로만 사용된다. 성능 평가를 위해 1,000만 어절 규모의 세종 말뭉치에서 순수 한글 585만 어절을 발췌하여 10 개의 세트로 나누고 10 배수 교차 검증을 실시한 결과 98.06%의 음절 정확도와 94.15%의 어절 재현율을 얻었다. 또한, 개인용 컴퓨터에서 초당 25만 어절, 1.8 MB의 문서를 처리할 수 있을 정도로 빠르다. 제안된 방법의 정확도나 재현율은 어절 사전의 크기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보다 큰 말뭉치로 어절 사전을 구축하면 성능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