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이브러리[ 검색결과 ]
C와 유사한 언어에서 정수-포인터 변환 지원을 위한 메모리 모델 설계: 이중 비결정성을 사용하여
http://doi.org/10.5626/JOK.2024.51.7.643
시스템 프로그래밍에서 포인터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정수-포인터 변환(Integer-Pointer Casting)을 포함한 프로그램에 정형 검증을 적용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정수-포인터 변환을 포함한 프로그램을 정형 검증하기 위해서는 정수-포인터 변환을 지원하는 수학적으로 정의된 메모리 모델과 검증 에 사용할 증명 방법이 필요하다. 우리는 Coq 증명 도구 안에서 정수-포인터 변환을 지원하는 메모리 모델을 정의했다. 이 모델은 끝에서 한 칸 벗어난 포인터(one-past-the-end pointer)를 포함한 정수-포인터 연산과 관련된 패턴을 제대로 지원한다. 또한 우리가 정의한 모델을 프로그램 검증에 사용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 기반 증명 방법론을 새로 정의하고 적합성(Adequacy)을 증명했다. 마지막으로 우리의 접근 방법 이 타당함을 확인하기 위해 검증된 C 컴파일러인 CompCert의 메모리 모델과 의미 구조를 우리가 정의한 것으로 변경한 후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CompCert의 최적화 검증 증명 중 두 개를 업데이트했다. 우리는 이 메모리 모델이 컴파일러와 정수-포인터 연산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검증에 적용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데이터셋 품질 개선을 위한 Self-Supervised Vision Transformer 기반의 객체 Pseudo-label 생성 기법
http://doi.org/10.5626/JOK.2024.51.1.49
이미지 분할은 이미지에 존재하는 객체를 객체 상자로 지역화하고 픽셀을 적절한 범주로 분류하는 컴퓨터 비전의 중요한 분야 중 하나이다. Instance segmentation 모델의 성능을 위해서는 다양한 크기의 객체에 대한 라벨을 가진 데이터셋이 요구된다. 하지만 최근 공개된 ‘Small Object Detection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셋은 크기가 크고 일반적인 객체에 대한 라벨이 부족하여 잠재적 성능 저하를 유발한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지도 학습 기반의 pseudo-labeling 방법론을 응용하여 일반적인 객체에 대한 pseudo-label을 생성함으로써 데이터셋의 품질을 개선한다. 실험결과, 기존 데이터셋 대비 작은 객체 분할 성능이 (+2.54 AP) 증가하였다. 추가적으로 적은 양의 데이터를 이용한 경우에서도 성능의 증가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제안된 방법론을 통해 효과적으로 데이터셋의 품질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이로 센서 데이터를 활용한 양치 위치 추정 및 비지도 학습 클러스터링을 통한 검증
김도윤, 권민욱, 백승주, 윤혜린, 임대연, 조은아, 류승재, 김영욱, 김진현
http://doi.org/10.5626/JOK.2023.50.12.1143
구강 건강은 수명과도 직접적 관련을 갖는 중요한 건강 지표다. 이러한 이유로 영유아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구강 건강은 국민 건강의 핵심으로 자리를 잡았다. 이러한 구강 건강의 기본은 올바른 양치 습관이다. 하지만 권장되는 올바른 양치 방법은 습관화하기 쉽지 않으며, 그러한 이유로 구강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준다. 본 논문은 올바른 양치 방법을 추적하기 위한 저비용의 IMU 센서를 통해 양치 구역을 구별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머신러닝의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으로 양치 구역의 추정 방법의 정확성을 평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IMU 센서의 자이로 센서만을 사용하여 칫솔 자세만으로 양치 구역을 판단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논문에서는 비교적 저렴한 6축 IMU 자이로 센서 데이터만으로도 80.6%의 정확도로 사용자 양치 부위를 추정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에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클러스터링 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Logistic regression을 훈련하여 양치 구역을 추정한 결과 86.7%의 정확도로 얻을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클러스터링이 효과적임과 함께 본 논문에서 제안한 칫솔 자세 기반의 양치 구역 추정이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양치 구역 추정 알고리즘이 비교적 적은 비용의 칫솔로 기능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인 양치 습관을 분석하고 개선함으로써 구강 건강 유지하는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다변량 시계열 Boundary 예측 및 신뢰도 평가 기법 기반 LNG 운반선 메인 엔진 시스템의 조기 이상 탐지
http://doi.org/10.5626/JOK.2023.50.5.429
최근 해양 및 조선 산업 전반에서 선박의 비정상적인 동작을 탐지하고 원인과 결과를 해석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형 조선소에서 건조한 LNG 운반선에서 추출되는 다변량 시계열 센서 데이터를 활용하여 메인 엔진 시스템의 조기 이상 탐지를 수행한다. 이상 동작의 조기 예측을 위해서 현재 시점의 센서 데이터로 미래의 값을 예측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실제 미래값과 예측값의 차이인 예측 잔차(Prediction residual)가 발생한다. 발생한 잔차는 조기 이상 탐지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보상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진은 시계열 예측 모델의 예측 상한(Upper boundary) 혹은 예측 하한(Lower boundary)을 학습할 수 있는 새로운 손실함수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손실함수로 학습된 시계열 예측 모델은 시계열 예측 잔차를 보상하여 조기 이상 탐지 알고리즘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안하는 신뢰도 모델은 시계열 예측 잔차와 신뢰도 잔차의 유사성을 활용하여 예측값의 실시간 신뢰도를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조기 이상 탐지 알고리즘의 적용 결과, 제안한 예측 상한을 학습한 예측 모델은 MSE 손실함수로 학습된 베이스라인 예측 모델이 출력 가능한 예측값의 상한을 출력하며 베이스라인 모델의 미래 예측값이 실제 미래값보다 낮아서 임계값 기반의 이상 판별자가 예측 판별하지 못한 이상 동작을 판별할 수 있게 하였다. 실험 결과, 중요 평가 도구인 Recall에서 베이스라인 모델의 성능 0.4001 대비 제안한 기법의 성능 0.9532로 성능이 향상되었다. 이는 실제 운항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운항 스타일에 강인한 조기 이상 탐지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을 사용한 학습 데이터 전처리 방법
http://doi.org/10.5626/JOK.2023.50.2.133
인공지능 모델 생성은 학습 데이터 가공, 모델 학습, 모델 평가의 단계로 진행된다. 양질의 학습 데이터를 만드는 데이터 전처리 기법은 모델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중 많은 기여를 한다. 기존의 전처리 기법은 모델 생성자의 경험에 많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경험을 기반으로 전처리를 수행하면 해당 전처리 기법을 선택한 근거를 설명하기 힘들다. 하지만 설계자가 경험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학습 모델이 거대해지고 인간이 해석하기 힘든 수준으로 복잡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을 도입하여 모델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을 사용한 학습 데이터 전처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스템 동작 과정은 전처리가 수행되지 않은 데이터로 학습시키며, 학습된 모델을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기법을 사용하여 동작 방식을 분석하여 그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전처리 수행을 반복한다. 최종적으로 모델 성능을 향상시키고 전처리 신뢰성을 설명하며 시스템의 실용성을 보이겠다.
Skip-Connected LSTM RNN을 이용한 악성코드 탐지 모델
http://doi.org/10.5626/JOK.2018.45.12.1233
프로그램은 명령어가 연속해서 나타나는 하나의 시퀀스로 볼 수 있고 악성코드는 악의적인 목적을 가진 하나의 프로그램이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램을 의미 정보를 가지는 하나의 명령어 시퀀스로 가정하고 이를 시퀀스 데이터 모델링에 적합한 딥러닝 모델인 Long Short-Term Memory Recurrent Neural Network(LSTM RNN)를 이용하여 악성코드를 탐지하고자 한다. 다양한 실험을 위해 명령어 시퀀스를 유니그램 및 트라이그램으로 나누어 여러 딥러닝 모델의 입력 자질로 사용한다. 여러 딥러닝 모델은 입력된 명령어 시퀀스를 이용해 프로그램이 정상파일인지 악성코드인지 판별하게 된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Skip-Connected LSTM RNN 모델을 악성코드 탐지에 적용하여 LSTM encoder 및 CNN모델과 비교 실험하여 더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보인다. 실험 결과, 명령어 시퀀스 트라이그램 데이터에서 Skip-Connected LSTM RNN 모델이 LSTM encoder 및 CNN 모델 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심층학습 기반의 Predictor-Estimator 모델을 이용한 영어-한국어 기계번역 품질 예측
http://doi.org/10.5626/JOK.2018.45.6.545
기계번역 품질 예측은 정답번역문의 참고 없이 기계번역문장의 번역품질을 예측하는 것을 말하며, 최근 들어 기계번역분야에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현재까지 영어-유럽어를 대상으로 기계번역 품질 예측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영어-한국어에 대해 기계번역 품질 예측을 시도한 사례가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영어-한국어 기계번역 품질 예측을 위한 학습 데이터를 구축하고, 심층학습 기반의 모델을 적용하여 영어-한국어에 대한 기계번역 품질 예측을 수행한다. 학습 데이터 생성을 위해서는 기계번역문장에 기반한 새로운 정답번역문을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며, 본 논문에서는 자유로운 어순과 다양한 형태가 가능한 한국어 문장의 특징을 고려하는 새로운 정답번역문을 만들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또한 학습 데이터가 편향되는 문제를 완화하여 학습 데이터를 구축한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학습데이터와 심층학습 기반의 모델을 이용한 실험 결과, 영어-한국어 기계번역 품질 예측이 잘 수행됨을 확인하였다.
실시간 해상 정보 수집을 위한 LoRa 링크 성능분석
http://doi.org/10.5626/JOK.2018.45.3.303
LoRaWAN(Long Range Wide Area Network)은 로라 국제 연합체(LoRa Alliance)에서 발표한 저전력, 장거리, 저속 통신을 위한 표준이다. LoRaWAN은 물리계층과 매체 접근 제어계층에 대한 기술을 다루고 있으며 그 중 물리계층에서 사용되는 기술을 LoRa라고 한다. LoRa는 해상에서 원격 계측 및 원격 제어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육지와 달리 해상환경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프라 구축이 힘들 뿐만 아니라 해상에서 LoRa의 성능분석에도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활용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해 해상에서의 LoRa 링크 성능을 분석한다.
실내 · 외 공간에서 거리에 따른 LoRa(Long Range) 성능 분석
http://doi.org/10.5626/JOK.2017.44.7.733
LPWAN(Low Power Wide Area Network) 기술은 사물인터넷을 위한 M2M(Machine to Machine) 네트워킹 기술이다. 이 기술의 목적은 저전력, 장거리, 저속 통신을 지원하는 것이며 대표적으로 LoRaWAN(Long Range Wide Area Network)가 있다. LoRaWAN를 이용하여 사물들 간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에 대하여 링크의 성능을 알아야 하는데 실증적인 환경을 기반으로 한 성능분석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실내, 실외 환경에서 링크 품질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다양한 변수에 대하여 LoRaWAN의 물리적 통신 기술인 LoRa(Long Range) 링크의 성능을 실증적으로 평가한다. 이를 위해 물리적인 성능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으며, 이후 통신 실험 환경을 실내, 실외 기반으로 구성하였으며 설정 파라미터 및 거리에 따른 SNR(Signal to Noise Ratio),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PDR(Packet Delivery Ratio)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안드로이드 단말에서의 상황별 위험도 분석 및 상황별 위험도 기반 지속인증 기법
타인의 접근제어를 위해 사용하는 스마트폰 인증은 스마트폰 사용 시 마다 다양한 방법으로 스마트폰 소유자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러나 이러한 빈번한 인증은 사용자들의 불편함을 야기하며, 때로는 인증방법을 사용하지 않게 하는, 궁극적으로 스마트폰 보안의 치명적인 문제로 작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사용자들의 보안인증 사용을 촉진하여 보안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지속인증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스마트폰의 현 상황위험도를 측정, 그에 맞추어 적절한 인증 수단을 결정, 적용하며, 낮은 위험도 수준일 경우 인증을 수행하지 않아 사용자의 가용성을 높여준다. 상황위험도를 정의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이용하였으며, 설문결과를 연령, 위치, 장소, 행동 등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시연을 위해 정의된 상황위험도와 보안인증수단과의 관계를 시각화하여 보여줄 수 있도록 시연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